한국사회학회 ()

사회구조
단체
사회학 및 이와 관련된 분야의 학술연구와 회원 상호간 전문적 지식의 교환을 목적으로 하는 학술단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사회학 및 이와 관련된 분야의 학술연구와 회원 상호간 전문적 지식의 교환을 목적으로 하는 학술단체.
연원 및 변천

1946년 한국 최초의 사회학과를 서울대학교에 설립한 이상백(李相佰)을 초대회장으로 하여 최문환(崔文煥) · 변시민(邊時敏) · 이만갑(李萬甲) · 이해영(李海英) 등 14명의 발기인들이 1957년 5월 5일 창립하였다.

1964년에는 학회지 《한국사회학》을 창간하였고, 1966년에는 프랑스 에비앙(Evian)에서 개최된 제6차 세계사회학대회에서 국제 사회학회(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의 회원으로 가입하였다.

1987년에는 "동아시아의 공업화: 과제와 전망(Industrial East Asia : Tasks and Challenges)"를 주제로 제5차 동아시아 사회학 국제학술대회(The 5th Asian Regional Conference of Sociology)를 개최하였고, 1989년에는 "21세기의 아시아 : 도전과 전망(Asia in the 21st Century : Challenges and prospects)"라는 주제로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1996년에는 학회를 사단법인체로 등록하였다. 같은 해 국제사회학회와 합동으로 "The Future of Sociology in East Asia"를 주제로 공동 콜로키움을 서울에서 개최하였다. 1999년에는 “민족통일과 사회통합 : 독일의 경험과 한국의 미래” 라는 주제로 통독 10주년 기념 한·독 특별심포지움 개최하였고, 같은 해에 "Learning From the Past, Looking Forward Future Asia-Pacific in the 21st Century"라는 주제로 아시아-태평양사회학회를 개최하였다.

2001년에는 학회지 《한국사회학》이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에 선정되었다. 2008년부터는 영문 학술지 Korean Journal of Sociology를 발간하고 있다. 2003년에는 한국문화인류학회와 공동으로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이라는 주제로 공동심포지움을 개최하였다. 2005년에는 "Globalization and Socio-Cultural Changes in Comparative Perspective"라는 주제로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하였다. 2009년에는 서울대학교에서 "Citizenship and the Flow of Ideas between Europe and Asia"를 주제로 한국정치사회학회,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 유럽-아시아 연구협회와 한 · 독 공동 국제학술심포지엄을 개최하였다.

2016년에는 "한국사회학회 지역순회 특별 심포지엄(광주 심포지엄) : 한국 민주주의의 미래- 호남정치와 한국의 민주주의"를 개최하였다. 2018년에는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를 한국노동연구원 등과 공동 개최하였고, 2020년에는 성균관대학교에서 “팬데믹과 한국사회변동”을 주제로 한국사회학대회를 개최하였다. 2022년에는 유관 학회와 공동으로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 발전을 위한 새 정부의 과제 "를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2025년에는 한국사회과학협의회와 공동으로 "포스트 성장시대의 지속가능한 사회모델"이라는 주제로 컨퍼런스를 개최하였다.

현황

학회는 매년 시의적절한 주제를 선정하여 ‘한국사회 어디로 가고 있나’(1983), ‘한국의 지역주의와 지역갈등’(1989), ‘한국의 사회동향과 삶의 질’(2009)과 같은 특별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그 결과를 단행본 형식으로 발간하고 있다.

세계사회학대회(World Congress of Sociology), 아시아사회학대회 등 국제 회의에도 꾸준히 함여하고 있으며, 사회학이 여러 사회과학의 기초라는 관점에서 인구학, 인류학, 신문방송학, 사회복지학 등 인접 학문과 활발하게 교류하고 있다. 학회지로 《한국사회학》을 발간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사회학회(http://www.ksa.re.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