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신문협회 ()

언론·방송
단체
신문산업 성장과 언론발전을 위해 국내 일간신문과 통신사 발행인들이 모여 설립한 단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신문산업 성장과 언론발전을 위해 국내 일간신문과 통신사 발행인들이 모여 설립한 단체.
개설

1957년 6월 29일 전국 일간신문 대표 36명이 모여 한국일간신문발행인협회를 창립하였다. 5 · 16 후에 군사정부가 언론정책을 수립, 추진하는 과정에서 발행인협회를 발전적으로 해체하고, 1962년 10월 13일 한국신문발행인협회로 명칭을 바꾸고 재창립하였다. 이후 1966년 10월 13일 한국신문협회로 명칭을 바꾸었다.

설립목적

1957년에 창립되었던 한국일간신문발행인협회는 ‘신문경영의 발전’을 창립 목적으로 내걸었었다. 이후 재창립한 한국신문발행인협회는 ‘국내 신문 · 통신 발행인들이 합심, 협동하여 신문 · 통신 경영의 발전과 공동의 이익을 도모코자 함’을 창립목적으로 하였다. 1966년 명칭을 ‘한국신문협회’로 바꾸고 ‘언론의 건전한 발전 및 신문 윤리 고양과 일간신문 · 통신사 공동의 이익을 옹호하고 언론의 공익적 기능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원 및 변천

한국일간신문발행인협회는 1957년 개별 신문사로서는 해결하기 어려운 경영상의 문제를 공동으로 극복하기 위해 창립되었다. 당시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신문용지의 부족, 광고의 부족, 열악한 근로조건의 해소, 인건비 문제 등이 제기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1961년 9월 12일 한국신문윤리위원회를 창설하고, 언론인의 자질 향상, 처우개선 등의 사업을 전개하였다. 1962년 명칭을 한국신문발행인협회로 개칭하고 재창간하였다. 한국신문발행인협회 출범 초기의 최대 과제는 신문용지난의 타개, 회원사 운영자금의 융자 알선, 신문의 증면 등이었다. 1965년 한국신문발행인협회 제4차 총회에서 정관을 개정해 ‘한국신문협회’로 개칭하였다.

신문업계 현안을 합리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각종 위원회와 협회 산하 협의회 등을 구성하여 운영했다. 신문사간의 과당경쟁을 방지하기 위해 1966년 영업정화소위원회를 구성했으며, 한자제한소위원회, 한글전용화연구소위원회를 설립하여 한시적으로 운영하는 한편, 편집, 업무, 공무, 관리 등 4개 부분의 한국신문상을 제정하였다. 신문협회는 1970년대 들어 경영 · 광고 · 판매 · 인쇄기술 · 출판 부문의 산하단체를 구성해 이를 통한 업무체계를 구축했으며 원활한 신문경영을 도모하였다.

1980년 7월 신군부 집권 하에서는 언론자율정화와 언론인 자질 향상에 관한 결의문을 채택, 대대적인 언론기관 통폐합을 유도하였다. 1985년 4월에는 기관지 『신문협회보』(월간)를 창간하여 현재(격주간)까지 간행하고 있다.

1987년 민주화 이후 여러 신문이 창간되고 이에 따라 증면 경쟁을 비롯해 경품 제공, 무가지 제공 등 신문사 간의 판매경쟁이 불붙게 되자, 1996년 신문공정경쟁심의위원회를 설치하고 신문공정경쟁규약을 제정하는 등 자율규제 활동에 적극 나섰다. 현재 정부의 신문고시 제 · 개정으로 정부의 직접규제 체제로 전환됨에 따라 자율규제 활동이 중단되었으나 신문업계는 자율규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기능과 역할

주요사업으로 신문정책의 기획 · 개발 및 전략수립을 위한 기획사업, 회원사 경영개선, 신문시장 확대, 신문산업 발전을 위한 연구, 일일 · 주간 미디어 동향 발행 등 연구사업, 건전한 온라인뉴스 생태계 환경 조성 및 유통질서 개선 등 디지털 · 뉴미디어 대응사업, 범사회적 리터러시 역량 강화 및 읽기문화 함양을 위한 신문활용교육사업(NIE), 신문광고 디지털 전송 시스템 사업(adKAN), 언론단제지원과 신문산업 종사자를 위한 교육 등 후원 및 교육사업, 해외 신문업계와 교류 및 협력 활성화 등 대외협력사업, 신문의 가치에 대한 사회적 인식제고, 신문 및 신문산업 관련 정보 제공 등 홍보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연례행사로 정기총회, 신문의 날 기념행사, 한국신문상 및 신문협회상, 일선장병 위문, 국제신문발행인협회총회 참가 등이 있다. 1960년대의 극심한 용지난을 타개하기 위하여 발행 면수를 줄이고, 외국용지의 수입으로 회원사에 공급, 원활한 신문발행을 도모하기도 하였다. 또한, 새 군가(軍歌), 자주정신 확립용어, 어린이기(旗), 밝고 바른 사회건설 표어, 선진조국창조 표어, 독립기념관 전시자료 수집 등의 공모사업도 벌였다.

국토방위 · 재해구호 · 원호대상자돕기 · 불우이웃돕기 · 해외동포모국방문돕기 · 독립기념관건립 등과 같은 국가적 · 사회적 명제가 대두될 때마다 전 회원사가 공동으로 성금을 모금하여 사회 공기(公器)로서의 구실에 참여하고 있다. 또, 신문 상용한자 2,000자를 선정하였고, 1968년 4월 국내 최초로 『한국신문연감』을 간행하였다. 한국신문편집인협회 · 한국기자협회 · 한국신문윤리위원회 등 언론단체 지원활동을 계속해오고 있다.

1971년 6월 취리히에서 열린 국제신문발행인협회(FIEJ) 총회에서 회원에 정식 가입되었다. 이후 매년 총회에 대표단을 파견하는 등 세계 각국의 신문 발행인들과의 교류를 전개해 오고 있다. 국제신문발행인협회(FIEJ)는 1996년 세계신문협회(World Association of Newspapers, WAN)로 명칭을 변경했다. 신문협회는 2002년 총회에서 ‘2005년 WAN총회’ 서울 유치를 이끌어내고, 2005년 ‘WAN총회’를 서울에서 성공적으로 개최하여 한국 언론의 위상을 드높였다.

이후 2014년 재난보도준칙, 2016년 선거여론조사보도준칙을 제정하였다.

현황

신문협회 산하 기구로는 경영지원협의회 · 광고협의회 · 기술협의회 · 기조협의회 · 출판협의회 · 판매협의회가 있으며, 2023년 현재 51개의 신문사와 2개의 뉴스통신사가 가입되어 있다.

참고문헌

『한국신문협회50년사, 1957∼2008』(한국신문협회, 2008)
『한국신문협회20년』(한국신문협회, 1982)
한국신문협회(www.presskorea.or.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