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조삼성기봉 ()

목차
관련 정보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
내용 요약

「한조삼성기봉(漢朝三姓奇逢)」은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이다. 한나라 시절 실제 인물인 광무제, 곽 황후, 음후 등이 당나라 시대에 다시 태어나 한나라 시절의 일에 대한 인과대로 인생을 살아 가는 모습을 그린 작품이다.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
개요

14권 14책의 국문 필사본이다. 한나라 시절 실제 인물인 주1, 곽 황후, 음후 등이 당나라 시대에 다시 태어나 한나라 시절의 일에 대한 인과대로 인생을 살아 가는 모습을 그린 작품이다.

내용

당나라 현종 때 낙양 운수동(雲水洞)에 승상 위징(魏徵)의 주2 '위성(魏誠)'이라는 주3가 있었다. 위 주14는 인품이 고상하고 청렴결백하고 주10을 싫어하여, 운수동으로 들어와 숨어 살고 있는데, 슬하에 혈육이 없어 쓸쓸히 지냈다.

위 처사에게는 조희(趙熹) · 지명(池明) · 설흠(薛欽)이라는 죽마고우가 있었다. 하루는 네 사람이 소상강에 놀러 갔다가 잠깐 조는 사이 똑같은 꿈을 꾸게 되었다. 네 사람은 모두 한 선관을 따라 천상에 올라가 옥황상제 앞에 나아갔는데, 한 부인이 옥황상제 앞에서 이전 생에 맺힌 원한을 풀기 위해서 윤회 주11에 참여하려는 뜻을 아뢰는 꿈이었다.

그 부인은 한나라의 중흥주(中興主) 광무제의 곽 황후였다. 광무제가 곽 황후를 주5, 무고한 태자마저 동해로 내치고는 음 여화를 황후로 삼은 데 대하여 원한을 품고 후세에 한번 보복할 것을 생각하고 옥황 앞에 전말을 아뢰고자 나타난 것이다.

이에 옥황상제는 광무제와 음 여화를 불러 곽 황후는 당실의 왕자로, 광무제는 조씨 가문의 딸로 태어나게 한다. 또 곽 황후의 친구인 백희 공주는 위씨 가문의 딸로, 곽 황후의 아들 경왕(景王)도 위씨 가문의 딸로 각각 태어나게 한 후, 위 · 곽 · 음 3인의 주12 주13을 자세히 알게 하라고 한다. 이에 백희 공주는 위 처사의 딸 옥희로, 광무제는 조 처사의 딸 수아로, 음 여화는 설 처사의 딸 여주로, 왕 첩여는 양 승상의 아들 추로, 곽 황후는 태자로 태어난다.

이때 나라에서 태자비의 간택이 있자, 위 소저가 정비(正妃)로, 조 소저가 부비(副妃)로 간택되었다. 위 · 조 양가에 청혼하였다가 거절을 당한 양 승상이 앙심을 품고 복수하려고 한다. 이때 남서 지방에 산적이 일어나 태자가 출전하여 '운설도인'이라는 주6의 도움으로 산적을 토벌한다. 태자는 나중에 그 진인이 자기의 아내 위비였음을 알고 못내 기뻐한다. 위비는 태자궁으로 돌아와 인력으로 궁중을 다스리며 태자로 하여금 조비와 설비를 자기보다 더 사랑하게 하니, 태자궁에 화평이 온다.

한편, 조 처사의 부인 허씨가 위가의 주7을 질투하여 주8 하고, 양 승상 부자도 위 · 조 양가를 모해하려고 한다. 안녹산(安祿山)의 주9이 일어나 현종이 물러나고 태자가 즉위하여 위비를 황후로 삼으니, 조비가 질투를 참지 못하다가, 아버지로부터 지난날의 꿈 이야기를 듣고 자신에게 매인 업보를 깨닫는다.

의의와 평가

『한조삼성기봉』은 불교적인 윤회 보응을 주제로 삼아, 한나라 광무제 때의 인물을 당나라 현종 때의 인물로 윤회 전생시켜 전세의 응보를 받도록 구성하여 놓았다.

이 작품은 「옥환기봉(玉環奇逢)」의 파생작으로 볼 수 있다. 강왕을 비롯한 모든 중요 등장인물이 「옥환기봉」에 등장했던 광무제, 곽 황후, 음후, 백희 공주가 재생한 것으로 설정되어 있기도 하거니와 강왕, 위비, 조비, 설비가 이들과 일대일로 대응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논문

임치균, 「〈한조삼성기봉〉 연구」(『한국학』 26, 한국학중앙연구원, 2003)
주석
주1

중국 후한(後漢)의 제1대 황제(B.C.6?~A.D.57). 본명은 유수(劉秀). 자는 문숙(文叔). 왕망의 군대를 무찔러 한나라를 다시 일으키고 낙양에 도읍하였다. 재위 기간은 25~57년이다. 우리말샘

주2

증손자의 아들. 또는 손자의 손자. 우리말샘

주3

벼슬을 하지 않고 세속을 떠나 산골에 파묻혀 글이나 읽고 지내는 선비. 우리말샘

주5

작위나 관직을 떼고 내치다. 우리말샘

주6

도교에서, 도를 깨쳐 깊은 진리를 깨달은 사람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7

타고난 복과 벼슬아치의 녹봉이라는 뜻으로, 복되고 영화로운 삶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8

꾀를 써서 남을 해치다. 우리말샘

주9

중국 당나라 현종 말엽인 755년에 안녹산과 사사명이 일으킨 반란. 현종은 촉나라에 망명하여 퇴위하고 반란군도 내부 분열로 763년에 평정되었으나 당의 중앙 집권제가 흔들리는 전환점이 되었다. 우리말샘

주10

공을 세워서 자기의 이름을 널리 드러냄. 또는 그 이름. 우리말샘

주11

응보(應報): 선악의 행위에 응하여서 그 갚음이 나타나는 고락(苦樂)의 결과. 우리말샘

주12

삼세의 하나. 이 세상에 태어나기 이전의 세상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13

착한 일과 악한 일이 그 원인과 결과에 따라 대갚음을 받음. 우리말샘

주14

예전에, 벼슬을 하지 아니하고 초야에 묻혀 살던 선비.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