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향산의 뛰어난 경치와 사찰·누정(樓亭)·암자·사적 등 경치 좋은 곳을 두루 찾아다니며 그 경치의 수려함에 감탄하여 지은 작품이다. 종래 이 가사는 「기성별곡(箕城別曲)」과 함께 ‘관서별곡’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그 작자를 백광훈(白光勳)이라고 하기도 하였으나, 연구 결과 신빙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서별곡’은 별개의 것이 전승되어 왔고, 작자도 ‘백광홍(白光弘)’이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 작품은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총 330구이며, 국한문혼용체로 되어 있다. 음수율은 3·4조가 주조를 이루며 3·3조, 2·4조, 4·4조 등도 드물게 보인다.
처음은 출발 장면으로 동자 6∼7명과 어른 3∼4명이 묘향산 봄 풍경을 구경하러 떠난다. 다음은 탐승노정(探勝路程)으로 “법왕봉(法王峰) 아ㅤㅈㅕㄱ안개 돗난해예 바인난대 네뫼의 구름남기 그림속 연우로다 구천(九天)의 은하수가 세길로 나려오니 산주폭(散珠瀑) 나난형세 굿살을 혜잣난듯 용연폭(龍淵瀑) 깁흔소의 노룡이 잠겻난듯 상상층 천신폭(天神瀑)난 하날밧 소래로다……”라고 묘향산 경개의 전개와 감흥을 노래하였다. 끝으로 귀향에 앞서 뒤돌아 본 묘향산을 ‘만학천봉이 구름빛 뿐이로다’라고 끝맺고 있다.
아름다운 경치를 묘사한 솜씨는 송순(宋純)의 「면앙정가(俛仰亭歌)」, 정철의 「관동별곡」과 비슷하고, 자유자재한 표현미, 화려하고 도도한 문장의 흐름은 이 가사의 운치를 더해 준다. 묘향산을 기행하고 쓴 「향산록」보다 그 표현 기교가 뛰어나다. 지지(地誌)·고적의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