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구 ()

목차
관련 정보
혼구 / 인문평론(1940.2)
혼구 / 인문평론(1940.2)
현대문학
작품
김동리(金東里)가 지은 단편소설.
이칭
이칭
제일장의 윤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김동리(金東里)가 지은 단편소설.
개설

1940년 2월 『인문평론』에 발표되었다. ‘제일장의 윤리’라는 부제가 붙어 있으며 작자의 초기작에 해당하는 작품이다.

내용

시골 초등학교에서 교사경력 7년째인 강정우(姜政佑)는 매일같이 기계적인 생활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우두커니 서 있기를 잘하고, 줄담배를 피워대는 그의 버릇이 단조롭고 무의미한 그의 삶을 반영한다.

그러던 어느날 그의 반 여학생인 윤학숙이 학교를 그만두겠다고 하는데 그것은 학숙의 아버지의 강권에 의한 것이었다. 학숙의 아버지 윤또생은 원래 막일을 하는 잡역부였는데 공사 도중에 손을 다쳐 못쓰게 되었다.

그 뒤 그는 첫딸을 부잣집 첩으로 들여보내고 그 대가로 사위에게 돈을 타서 생계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이번에는 둘째 딸 학숙마저 그런 식으로 팔아 넘기려 하는 것이다.

그러나 공부도 제법 잘 하는 학숙은 아버지의 뜻을 거역하고 담임인 정우에게 도움을 청하게 된다. 무력하기만 한 정우는 학숙을 타락의 구렁으로부터 구출하여야 되겠다고 생각은 하면서도 결국 아무 손도 쓰지 못 하고 만다.

작품의 제목이 암시하듯 시종 우울하게 전개되는 이 작품의 암울한 분위기는 주인공의 혼미스러운 의식과 융합되어 작품의 주제구현에 큰 몫을 담당하고 있다.

즉, 학숙이 인신매매 형식으로 팔려 가는 이야기의 구성 그 자체보다 그러한 부정적 사태에 대응하는 정우의 무기력한 모습과, 무언가 행동으로 옮기고 싶지만 워낙 안일한 습성에 빠져 있는 터라 실행하지 못하는 데서 오는 갈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작품의 분위기는 나아가 암울한 시대적 분위기를 암시하는 것이다.

의의와 평가

식민지 백성으로 길들여져 있던 지식인들이 도저히 묵과하기 힘든 사태에 접할 때 잠재되어 있던 저항정신이 꿈틀거리기는 하나 실제로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하고 정신적 고뇌에만 빠지고 있다는 주제를 나타낸다.

결국 그것은 무기력한 타성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혼미한 의식만을 되풀이하여 겪을 수 밖에 없는 당시의 시대상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한국현대소설사』(이재선, 홍성사, 1979)
「동리문학연구」(백철 외, 『서라벌문학』8, 서라벌예술대학, 1973)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