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사 영산회 괘불탱 ( ▽)

목차
관련 정보
구례 화엄사 영산회괘불탱
구례 화엄사 영산회괘불탱
회화
작품
국가유산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화엄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괘불탱화.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화엄사 영산회 괘불탱(華嚴寺 靈山會 掛佛幀)
분류
유물/불교회화/괘불화/석가불도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1997년 09월 22일 지정)
소재지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539, 화엄사 (황전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화엄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괘불탱화.
내용

1997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1653년(효종 4) 작. 크기는 세로 11.95m, 가로 7.76m나 되는 거대한 높이의 탱화로서 짜임새 있는 구도, 균형 잡힌 형태, 치밀한 선, 밝은 색채 등으로 17세기 중엽경의 제일가는 걸작이다.

전체적인 화면 구성은 석가모니불과 문수보살·보현보살 등 삼존불 위주의 구성이다. 「보살사괘불탱화」(1649년) 등 대부분의 조선조 영산회상도와는 다른 독특한 구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점은 아마도 인근 지역인 곡성 도림사(道林寺) 괘불탱화의 삼존도와 비슷한 의도에서 만들어진 것 같다. 어쨌든 석가삼존상은 화면의 중심에 삼각형적으로 배치되어 화면을 압도하고 있다.

이 삼존불 아래에는 동 지국천왕(持國天王)과 남 증장천왕(增長天王) 등 사천왕 중 이천왕이 서 있다. 당당한 모습으로 크게 묘사되어 오존상처럼 보이게 한다. 이들 사이에는 예배단이 있고 그 위에 향로를 봉안하였다. 부처의 머리 좌우에는 앞의 오존상보다 현저히 작은 10대제자와 2구의 화신불(化身佛)이 배치되었는데 개성 있는 모습을 표현하였다. 그 좌우 상단에는 다문(多聞)과 광목(廣目) 등 사천왕이 배치되어 화면의 네 모서리를 사천왕이 지켜주는 구도로, 삼존상과 함께 이 불화의 구도를 특징지어주고 있다.

불·보살상들은 상당히 균형 잡힌 모습의 세련된 형태로 묘사되어 있다. 뾰족한 육계와 큼직한 계주 등은 물론, 둥근 얼굴에 작은 코와 입, 큼직한 눈, 도식적인 귀 등은 4년 앞서 제작된 「보살사괘불탱화」와 비슷한 수법이다.

석가모니불의 늘씬한 상체와 균형 잡힌 체구, 통견의 대의(大衣)의 옷깃과 구획선에 묘사된 치밀한 꽃무늬, 작고 둥근 옷 무늬 등은 역시 16세기 중엽경의 특징들과 흡사한 것이다. 좌우 보살상의 호화로운 장신구 치레나 광배 안의 꽃무늬, 화려한 꽃 장식 등에서도 역시 당시 보살들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이 점은 사천왕에도 그대로 보이고 있다. 이와 더불어 이 불화의 독특한 면모는 밝고 화사하고 호화로운 색채로서, 이 당시 불화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미』16 조선불화(문명대 감수, 중앙일보사, 1984)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