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 황산대첩비지 ( )

목차
관련 정보
남원 황산대첩비 정측면
남원 황산대첩비 정측면
건축
유적
국가유산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운봉읍에 있는 조선전기 황산대첩 승전 관련 비터. 비터.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남원 황산대첩비지(南原 荒山大捷碑址)
분류
유적건조물/인물사건/역사사건/역사사건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사적(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전북 남원시 운봉읍 가산화수길 84 (화수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운봉읍에 있는 조선전기 황산대첩 승전 관련 비터. 비터.
내용

고려 말에 이성계(李成桂)가 황산에서 왜구를 섬멸한 일을 기록한 비가 있던 곳이다.

황산은 운봉읍 소재지에서 동쪽으로 약 8㎞ 떨어진 해발 695m의 바위산이다. 1380년(우왕 6)에 삼도순찰사 이성계는 산 아래 협곡에서 배극렴(裵克廉, 1325∼1392) · 이두란(李豆蘭) 등 휘하의 여덟 원수를 거느리고 함양에서 공격해오는 왜구들과 치열한 전투를 벌여 적장 아지발도(阿只拔都)를 사살하는 등 큰 승리를 거두었다. 황산대첩은 이후 크게 알려져 그 내용이「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에도 수록되었다.

1577년(선조 10)에는 당시의 승전 사실을 길이 전하기 위하여 호조판서 김귀영(金貴榮, 1520∼1593)이 글을 짓고 송인(宋寅, 1517∼1584)의 글씨로 새긴 황산대첩비가 건립되었다. 건립 당시에는 비각(碑閣) · 별장청(別將廳) 등의 다른 건물도 지어 비를 지키도록 하였다. 지금도 비터에는 그 흔적이 남아 있다.

1945년 1월에 남원의 경찰은 일제의 민족문화 말살정책에 따라 소방대를 동원하여 비를 폭파하고 비문의 글자를 긁어 버렸다.1963년에 사적으로 지정된 뒤 깨진 거북돌을 다시 맞추고 오석(烏石)으로 비신을 다시 세웠고, 1973년에는 비전(碑殿) · 홍살문 · 삼문 · 담장 등과 함께 여러 부속건물 등을 새로이 정비하고 단장하였다. 새로 세워진 대첩비는 높이 4.25m로, 용을 새긴 이수(螭首)와 거북 모양의 귀부(龜趺)를 갖추고 있다.

참고문헌

『지리산권의 금석문』(김아네스 편, 국립순천대학교 지리산권문화연구원, 2009)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