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후 청석 ( )

목차
관련 정보
황후 청석
황후 청석
의생활
유물
국가유산
조선 말기에 황후의 적의(翟衣) 일습(一襲)으로 착용하였던 대례용 신.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황후 청석(皇后 靑?)
분류
유물/생활공예/복식공예/의복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가민속문화유산(1979년 01월 26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 209 (군자동, 세종대학교 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말기에 황후의 적의(翟衣) 일습(一襲)으로 착용하였던 대례용 신.
개설

윤황후 용(用) 심청색 12등 적의와 함께 착용되었던 것으로 보이는 청석(靑舃) 1점이다. 운두(韻頭)가 낮은 혜(鞋) 모양으로 청색 공단을 바탕 옷감으로 사용하였다. 1979년 1월 23일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어 현재 세종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석(舃)은 황후 · 왕비 · 왕세자빈의 법복인 적의(翟衣)에 일습(一襲)으로 구성되는 신으로서 신분별로 색상을 달리한다. 조선시대의 역대 『가례도감의궤』에서 중궁전은 적석(赤舃)이며 세자빈은 흑석(黑舃)이었다. 적의제도의 시대적 변천에 따라 석의 형태에도 변화를 보여 『(인조장렬후)가례도감의궤』에는 단화(短靴) 형태로 그려져 있다. 대한제국 시기의 적의제도는 면복과 같이 『대명회전』의 황후제도를 적용하여 청석이었는데, 기본 형태는 『삼재도회(三才圖會)』를 참조한 운두가 낮은 혜(鞋) 모양이다.

내용

청색 공단을 바탕 옷감으로 사용하였고 백색 명주로 되어 있는데, 속에 심을 빳빳하게 대어 모양이 잘 유지되고 있다. 앞중심 양쪽으로 9㎝ 내려온 부분에 이음선이 있으며 나머지 부분은 곬으로 되어 있다. 크기는 총길이 24㎝, 높이 3.5㎝, 밑창 너비 7㎝, 앞코 높이 5㎝, 앞코 너비 6㎝이다. 신의 양옆과 뒤에는 1.8㎝ 너비의 백색 공단 고리가 안쪽에 여유를 두고 달려 있으며, 이 사이를 너비 2㎝, 총길이 97㎝의 청색공단 긴 끈[纓子]이 끼워져 있고 뒷고리에서 교차할 수 있게 만들어 놓아 발등에서 매어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앞코에는 보라색 망술[絲花]이 달려 있으며, 앞코 밑에도 보라색 견사(絹紗)로 운문이 수놓아져 있다. 청석의 콧날 위에도 보라색 실로 수놓아져 있고, 운두도 보라색 실로 감침질되어 겉감과 안감의 경계가 정교하게 마무리되어 있다. 운두 바로 아래는 가는 끈으로 장식하였다. 신발 바닥에는 보라색 굵은 실로 마치 징을 박은 것처럼 보이는 둥근 매듭이 줄 맞추어 수놓아져 있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 2 복식자수편-』(문화재청, 2006)
『화(靴)·혜(鞋)·리(履)』(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3)
『문화재대관(文化財大觀) -중요민속자료편(重要民俗資料篇) 하(下)-』(문화재관리국, 1986)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