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황후 용(用) 심청색 12등 적의와 함께 착용되었던 것으로 보이는 청석(靑舃) 1점이다. 운두(韻頭)가 낮은 혜(鞋) 모양으로 청색 공단을 바탕 옷감으로 사용하였다. 1979년 1월 23일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어 현재 세종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석(舃)은 황후 · 왕비 · 왕세자빈의 법복인 적의(翟衣)에 일습(一襲)으로 구성되는 신으로서 신분별로 색상을 달리한다. 조선시대의 역대 『가례도감의궤』에서 중궁전은 적석(赤舃)이며 세자빈은 흑석(黑舃)이었다. 적의제도의 시대적 변천에 따라 석의 형태에도 변화를 보여 『(인조장렬후)가례도감의궤』에는 단화(短靴) 형태로 그려져 있다. 대한제국 시기의 적의제도는 면복과 같이 『대명회전』의 황후제도를 적용하여 청석이었는데, 기본 형태는 『삼재도회(三才圖會)』를 참조한 운두가 낮은 혜(鞋) 모양이다.
청색 공단을 바탕 옷감으로 사용하였고 백색 명주로 되어 있는데, 속에 심을 빳빳하게 대어 모양이 잘 유지되고 있다. 앞중심 양쪽으로 9㎝ 내려온 부분에 이음선이 있으며 나머지 부분은 곬으로 되어 있다. 크기는 총길이 24㎝, 높이 3.5㎝, 밑창 너비 7㎝, 앞코 높이 5㎝, 앞코 너비 6㎝이다. 신의 양옆과 뒤에는 1.8㎝ 너비의 백색 공단 고리가 안쪽에 여유를 두고 달려 있으며, 이 사이를 너비 2㎝, 총길이 97㎝의 청색공단 긴 끈[纓子]이 끼워져 있고 뒷고리에서 교차할 수 있게 만들어 놓아 발등에서 매어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앞코에는 보라색 망술[絲花]이 달려 있으며, 앞코 밑에도 보라색 견사(絹紗)로 운문이 수놓아져 있다. 청석의 콧날 위에도 보라색 실로 수놓아져 있고, 운두도 보라색 실로 감침질되어 겉감과 안감의 경계가 정교하게 마무리되어 있다. 운두 바로 아래는 가는 끈으로 장식하였다. 신발 바닥에는 보라색 굵은 실로 마치 징을 박은 것처럼 보이는 둥근 매듭이 줄 맞추어 수놓아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