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국등록 ()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 후기 1615년(광해군 7)부터 1881년(고종 18)까지 훈련도감에서 왕명이나 업무와 관련되어 다른 관서와 주고받은 문서를 날짜순으로 베껴 적어 연도별로 묶어 놓은 책.
문헌/고서
편자
훈련도감
판본
필사본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훈국등록(訓局謄錄)』은 조선 후기, 1615년(광해군 7)부터 1881년(고종 18)까지 훈련도감에서 왕명이나 업무와 관련되어 다른 관서와 주고받은 문서를 날짜순으로 베껴 적어 연도별로 묶어 놓은 책이다. 총 97책이 현전하고 있다. 수록 내용은 훈련도감 관원과 장교의 인사, 군사 훈련, 급료, 군병 충원 문제, 각종 시재, 호궤 등 관서 행정, 국왕 거둥 때 시위 분담 및 절차, 도성 방어와 관련되어 도성·산성 축성 및 보수 등 제반 업무에 관한 것이다.

정의
조선 후기 1615년(광해군 7)부터 1881년(고종 18)까지 훈련도감에서 왕명이나 업무와 관련되어 다른 관서와 주고받은 문서를 날짜순으로 베껴 적어 연도별로 묶어 놓은 책.
저자 및 편자

작성과 편찬은 훈련도감에서 담당하였다.

서지사항

필사본이다. 현전하는 『훈국등록』은 1615년부터 1881년까지 총 97책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9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3책이 소장되어 있다. 1615년부터 1881년까지 계속 이어지지 않고 중간에 유실된 부분이 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조선시대 서울과 지방의 각종 관청에서는 수발한 문서 내용을 베껴서 보관하였는데, 이것을 '등록(謄錄)'이라 한다. 『훈국등록』은 훈련도감의 제반 업무와 관련하여 임금이 내린 문서, 관련 관사에서 보낸 문서 그리고 훈련도감에서 임금에게 올린 문서, 다른 관사에 보낸 문서 등을 날짜별로 베껴서 6개월 혹은 1년 단위로 묶어놓은 것이다.

내용

훈련도감은 임진왜란 중인 1593년(선조 26)에 일본군과 대항하기 위해서 설립되었으며, 전란 이후에는 임금 호위와 도성 방위가 주된 임무였다. 1882년(고종 19)에 폐지되었다.

『훈국등록』에는 업무와 관련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첫째, 훈련도감 자체 행정 내용으로 훈련도감의 낭청(郎廳) · 장관(將官)의 인사 기록, 훈련 상황, 각종 무기 상황과 제작, 군병 급료, 군병 충원 문제, 각종 시재(試才), 호궤(犒饋), 마장(馬場) 등이다.

둘째, 임금 호위 업무 관련 내용이다. 임금이 궁궐 내외, 능행 등을 위해 거둥할 때 시위 분담과 절차 등을 자세히 적고 있다.

셋째, 도성 방위를 위한 도성 순라, 궁궐 담장 보수, 산성 축조와 수보(修補) 등이다.

넷째, 훈련도감 포수(砲手)가 동원되어야 할 특별 업무 등이 있었는데, 대표적인 것이 호환(虎患)에 관한 내용이다.

이외에도 각 왕대(王代) 훈련도감에서 있던 특정 사안도 실려 있는데, 군병들의 신분 문제, 군병의 장사 행위, 훈련도감의 재편 등이 그런 것이다.

의의 및 평가

훈련도감의 인사 이동, 각종 규정, 왕의 거둥 수행, 군사훈련, 각종 시험 및 포상, 재정 문제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어서 훈련도감의 실제 업무와 그 기능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논문

정구복, 「장서각 소장 군영자료의 성격과 가치-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에 대한 제언」(『장서각』 33,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정해은, 「조선 군대의 일상을 만나다」(『장서각에서 옛 기록을 만나다』, 한국학중앙연구원, 2011)
연갑수, 「조선후기 등록에 대한 연구」(『외대사학』 12,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0)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