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곡보 ()

목차
관련 정보
가곡보
가곡보
국악
문헌
1959년 이주환이 남창가곡과 여창가곡 등을 수록한 악보. 가곡악보·등사본.
목차
정의
1959년 이주환이 남창가곡과 여창가곡 등을 수록한 악보. 가곡악보·등사본.
서지적 사항

전체 59면(面).『가곡보(歌曲譜)』는 남창가곡(男娼歌曲)과 여창가곡(女唱歌曲)을 정간보(井間譜)와 율자보(律字譜)에 기보(記譜)한 악보이다.

내용

내용은 남창가곡, 여창가곡, 부록(附錄)의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남창가곡에 수록된 것은 전체 26곡으로 ① 우조(羽調)의 초수대엽(初數大葉, 東窓이), 이수대엽(二數大葉, 江湖에), 중거(中擧, 仁心은), 평거(平擧, 景星出), 두거(頭擧, 구름이), 삼수대엽(三數大葉, 赤土馬), 소용(搔聳, 불아니), 우롱(羽弄, 三月三日), 우락(羽樂, 조다가), 언락(言樂, 碧紗窓), 우편(羽編, 鳳凰臺上), ② 계면조(界面調)의 초수대엽(初數大葉, 靑石嶺), 이수대엽(二數大葉, 잘새는), 중거(中擧, 잇스렴), 평거(平擧, 半넘어), 두거(頭擧, 岳陽樓), 삼수대엽(三數大葉, 朔風은), 소용(搔聳, 어흐마), 언롱(言弄, 李太白), 평롱(平弄, 南薰殿), 계락(界樂, 鐵騘馬), 편수대엽(編數大葉, 鎭國名山), 언편(言編, 寒松亭), 태평가(太平歌, 이랴도), ③ 반우반계(半羽半界)의 반엽(半葉, 三月三日), 편락(編樂, 나무도)에 해당한다.

여창가곡에 수록된 것은 전체 15곡으로 ① 우조(羽調)의 이수대엽(二數大葉, 버들은), 중거(中擧, 靑鳥야), 평거(平擧, 一笑), 두거(頭擧, 一刻이), 우락(羽樂, 바람이), ② 계면조(界面調)의 삼수대엽(三數大葉, 言約이), 중거(中擧, 山村에), 평거(平擧, 楚江), 두거(頭擧, 壬戌之), 평롱(平弄, 北斗), 계락(界樂, 靑山도), 편수대엽(編數大葉, 牧丹은), 태평가(太平歌, 이랴도), ③ 반우반계(半羽半界)의 반엽(半葉, 남하여), 환계락(還界樂, 앞내)으로 되어 있다.

마지막 부록에는 남창 계락에서 우조로 돌리는 5장(五章)과 여창 농(弄)에서 우조로 돌리는 5장(五章)이 함께 수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가곡보』(이주환, 수서원, 1989)
『한국음악학논저해제』(송방송,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
관련 미디어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