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약장정 ()

유교
문헌
대한제국기 관료 이용원이 1905년에 종래의 향약법을 가감하여 정한 규약을 기록한 향약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대한제국기 관료 이용원이 1905년에 종래의 향약법을 가감하여 정한 규약을 기록한 향약서.
서지적 사항

1905년(광무 9)에 이용원(李容元)이 편찬하였으며, 목활자본으로 1책(26장)이다. 선장(線裝)을 하였고, 책의 크기는 30.2㎝×19.5㎝이며 반곽(半郭)의 크기는 24.5㎝×16.3㎝이다. 광곽은 사주단변(四周單邊)이고, 계선이 있으며, 반엽(半葉)의 글자는 11행 22자, 주쌍행(註雙行)이다. 어미는 내향백어미(內向白魚尾)이며 서명은 표제(表題)에 의하였고 판심제(版心題)는 입약범례(立約凡例)이다. 마지막에 간기(刊記)가 있는데 “光武 九年 五月日 都約所發刊”이라고 하였다. 저지(楮紙)를 썼고 이왕가도서지장(李王家圖書之章)이 찍혀있다.

내용

1905년(광무 9)에 이용원(李容元)이 종래의 향약법(鄕約法)을 더하거나 덜어서 정한 규약을 적어놓은 책이다. 서두에 “방남전여씨여아동방제현향약법병증손입규문(倣藍田呂氏與我東方諸賢鄕約法幷增損立規文)”이라 하여 이 책의 성격을 밝히고 있다. 서명은 표제를 따라 『계약장정(契約章程)』이라 하였고, 판심제(版心題)는 입약범례(立約凡例)이다. 마지막에 “光武 九年 五月日 都約所發刊” 이라는 간기(刊記)가 있어 간행년도를 알 수 있다. 간기 다음에는 참여한 사람의 이름이 한 줄씩 나열되어 있다. 도약장(都約長)은 전우찬성(前右贊成) 이용원, 약장(約長)은 전찬정(前贊政) 이건하(李乾夏), 부약장(副約長)은 전승지(前承旨) 정인섭(鄭寅燮), 총무는 전도사(前都事) 홍재흥(洪在興)과 전의관(前議官) 정재석(鄭在錫), 유사(有司)는 전주사(前主事) 이시우(李時愚)와 유학 홍종학(洪鐘鶴), 이심위(李心葳), 서기는 유학 김재훈(金在憲)이다.

『계약장정』은 입약범례(立約凡例), 회집독약법(會集讀約法), 약례(約例), 사창계약례(社倉契約例), 약속(約束), 덕업상권(德業相勸), 과실상규(過失相規), 예속상교(禮俗相交), 환난상휼(患難相恤), 사창법(社倉法), 강신의(講信儀), 약속(約束) 등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은 목활자본을 소장하고 있으며, 단국대학교 율곡도서관은 운각인서체자(芸閣印書體字)로 찍은 『계약장정』을 소장하고 있다.

이용원(李容元)은 조선 말기의 문신으로 현감을 지낸 뒤 1875년(고종 12) 동부승지·대사간이 되었다. 1876년(고종 13) 우부승지 서정순(徐正淳)과 함께 동부승지로서 최익현(崔益鉉)의 흑산도 안치를 해제해줄 것을 요청하는 상소를 올렸다. 1890년(고종 27) 예조참판으로서 민씨척족들의 고종 왕위선양(王位禪讓) 모의를 항의하다가 찬배(竄配) 당하였고, 1894년(고종 31) 정치개혁이 이루어지면서 정치범을 석방할 때 흑산도에서 풀려났다. 그 뒤 이조판서와 법무아문대신, 우찬성을 지냈으며, 1896년(건양 1) 경연원경 겸 왕태자궁일강관(經筵院卿 兼 王太子宮日講官)에 임명되었다. 1897년(광무 1) 중추원일등의관을 지냈고, 1902년(광무 6) 궁내부특진관이 되었으며, 보국특진관(輔國特進官)에 올랐다. 1905년(광무 9) 최익현이 창의토적소(倡義討賊疎)를 올리고 거의(擧義)를 준비할 때 그에게도 창의구국(倡義救國)의 글을 보냈다. 1910년(융희 4)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된 뒤 일본 정부로부터 남작 작위를 받았다.

의의와 평가

조선말기와 대한제국 시기 향약의 모습을 알려주며, 이전 향약과의 비교를 통하여 향약의 내용 변화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lib.aks.ac.kr)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people.aks.ac.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