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당선생한씨부훈 ()

유교
문헌
조선후기 유학자 한원진이 부녀자가 힘써야 할 덕목과 범절에 대하여 저술한 교훈서. 여훈서.
이칭
이칭
한씨부훈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유학자 한원진이 부녀자가 힘써야 할 덕목과 범절에 대하여 저술한 교훈서. 여훈서.
개설

남당선생한씨부훈(南塘先生韓氏婦訓)은 1712년(숙종 38) 한원진(韓元震, 1682∼1751)이 31세 때에 부녀자에게 교훈이 될 만한 것을 정리한 내용으로, 1874년(고종 11)에 필사한 것이다.

편찬/발간 경위

한원진은 평소 심술(心術)의 폐단을 바로잡고 권면(勸勉)의 방법을 가르치기 위해 한 집안의 아녀자의 교훈을 만들고자 하였는데‚ 마침 사매(舍妹)인 이씨부인(李氏婦人)이 성현(聖賢)의 격언(格言)을 써서 가르쳐 달라고 하여 지었다고 한다. 발문에서 김평묵(金平默)은 이 책이 규방(閨房)의 경(經)으로서 어려서 어머니가 언해본을 읽던 기억을 떠올리면서 그것이 『남당집(南塘集)』의 내용을 제대로 살리지 못했으니 친구 신성담(申聖澹)이 정역(精譯)하여 그 뜻을 다하길 바란다고 당부하였다.

서지적 사항

궤인(軌印)이 있는 필사본으로 1책(17장)으로 되어 있다. 1712년(숙종 38) 한원진의 서문과 1874년(고종 11) 김평묵(金平默)의 발문을 붙여 필사하였다. 한원진의 문집 『남당집』권26에도 전한다.

내용

모두 11장으로 (1) 총설장(總說章) (2) 사부모구고장(事父母舅姑章) (3) 사가장장(事家長章) (4) 접형제제사장(接兄弟娣姒章) (5) 교자부장(敎子婦章) (6) 대첩잉장(待妾媵章) (7) 어비복장(御婢僕章) (8) 간가무장(幹家務章) (9) 접빈객장(接賓客章) (10) 봉제사장(奉祭祀章) (11) 근부덕장(謹婦德章)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정에서 여성의 역할에 맞추어 실천규범을 정리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집안의 성쇠는 부인의 행실에 달려 있고, 부인의 행실의 옳고 그름은 교육에 있다고 전제하면서 사친(事親)과 봉선(奉先)이 만사의 시작이자 끝이라고 강조하였다.

의의와 평가

송시열의 『계녀서(戒女書)』와 송요화(宋堯和)의 아내인 김호연재(金浩然齋, 1681∼1722)가 지은 『자경편(自警篇)』과 함께 충청권에서 저술된 여성 규훈서로서 조선후기 성리학적 여성 규범과 가정 안에서의 역할을 이해하는 안내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아울러 18세기 후반에 저술된 이덕무(1741∼1793)의 『사소절(士小節)』「부의(婦儀)」편과 비교하면 시기적 차이와 경향(京鄕)의 지역적 차이에 따른 여성규범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계녀서(戒女書)』
『자경편(自警篇)』
『남당집(南塘集)』
『사소절(士小節)』
『열녀의 탄생』(강명관, 돌베게, 2009)
규장각한국학연구원(e-kyujanggak.snu.ac.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