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행교범 ()

유교
문헌
1892년 민병석이 평안도에서 시행한 덕행과(德行科)의 규범과 의식 등을 모아 간행한 교훈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892년 민병석이 평안도에서 시행한 덕행과(德行科)의 규범과 의식 등을 모아 간행한 교훈서.
서지적 사항

목판본 1책(56장)의 분량으로 1892년(고종 29)에 간행되었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국립중앙도서관, 계명대학교 도서관, 충남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덕행교범』은 당시 평안감사였던 시남(詩南) 민병석(閔丙奭: 1858∼1940)이 평안도에서 시행한 덕행과의 규범(規範)과 의식(儀式) 등을 정리한 책이다. 주희(朱熹)가 창립한 덕행과(德行科)의 취지를 본받고, 이이(李珥)의 『학교모범(學校模範)』을 참고하여 만들었다.

구성은 다음과 같다. ①민병석의「덕행교범서(德行敎範序)」, ②1891년(고종 28) 12월 의정부에 올린 장계의 내용을 정리한 「덕행과사례(德行科事例)」, ③「율곡이선생학교모범(栗谷李先生學校模範)」, ④「상읍례도(相揖禮圖)」, ⑤「홀기(笏記)」, ⑥「향음주행례도(鄕飮酒行禮圖)」, 「향사행례도(鄕射行禮圖)」, ⑦「향음주례의절(鄕飮酒禮儀節)」, ⑧「향음주례홀기(鄕飮酒禮笏記)」, ⑨「향사례의절(鄕射禮儀節)」, ⑩「향사례홀기(鄕射禮笏記)」 등이 그것이다. 대부분의 분량은 「상읍례도」 이하의 도식과 홀기로 이루어져 있고, 내용은 바로 실천에 옮길 수 있는 지침을 정리한 것이다.

민병석이 실행한 덕행과의 실천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평안도 내의 각 읍 각방(各坊)에 문학과 덕행에 뛰어난 사람을 1명씩 뽑아 면강장(面講長)을 삼고, 각 면(面)의 유생들에게 먼저 『학교모범』을 실천하도록 학문을 강론하게 한다. 이어 매월 말에 면내의 유생들을 강장(講長)의 집에 모아 학문을 강론하고 그 중에 우수한 사람들을 선발하여, 매년 봄가을로 면강장이 통솔하여 그 읍의 명륜당에 나아가 향음주례를 마치고 경의(經義)와 책문(策問) 등으로 시험을 봐서 그 읍에 정해진 인원을 선발한다. 이 인원을 다시 청남(淸南)과 청북(淸北)으로 보내면 청남과 청북에서는 또 경사(經史)와 시무(時務) 등으로 다시 시험을 봐서, 청남에서는 매년 봄가을로 각각 5명씩을 뽑고 청북에서는 봄에 3명과 가을에 4명씩을 뽑아 3년마다 모두 58명을 선발한다.

의의와 평가

19세기에 주자와 율곡의 성리학적 교육방법과 그 이념을 실천하려는 노력을 엿볼 수 있는 자료로, 당시 교육사 연구에 참고가 된다. 과거제의 인재선발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노력에서 나왔고, 이를 관찰사가 직접 덕행과를 고안하여 해당 도에 시행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가 평가되며, 특히 평안도 지역에서 시행되었다는 점이 주목된다.

참고문헌

『고종실록(高宗實錄)』
『율곡전서(栗谷全書)』
『예기(禮記)』
규장각한국학연구원(e-kyujanggak.snu.ac.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