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강경연강의 ()

유교
문헌
조선시대 문신 · 학자 김우옹이 제14대 왕 선조의 경연에서 강의한 내용을 수록한 강론집. 경연록.
이칭
이칭
경연강의
정의
조선시대 문신 · 학자 김우옹이 제14대 왕 선조의 경연에서 강의한 내용을 수록한 강론집. 경연록.
개설

『동강경연강의(東岡經筵講義)』는 동강(東岡) 김우옹(金宇顒)이 1573년(선조 6)에서 1585년(선조 18)까지 선조가 군신과 더불어 경서를 진강(進講)하거나 제반 사항에 대하여 문답(問答)한 내용을 기록한 책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서지적 사항

선장(線裝)으로 된 필사본으로 책의 크기는 34.4×21.5cm이며 무곽(無郭), 무사란(無絲欄)이다. 반엽(半葉)은 11행 22자이고 주쌍행(註雙行)이며 판심이 없다. 서명은 표제(表題)에 의하였고, 종이는 저지(楮紙)를 썼다. 이왕가도서지장(李王家圖書之章)이 찍혀있다.

내용

34세 때 홍문관 정자(正字)로서 경연관이 된 뒤부터 대사헌(大司憲) 때(1573∼1585)까지 총 43회에 걸쳐 경연에서 강론한 내용이다. 여기에는 경전을 강론한 것은 물론 강의를 마치고 군신 간에 제왕의 학문과 시정의 득실을 논한 것도 실려있다. 경연강의는 『서경(書經)』을 가지고 제왕의 치도(治道)와 경계에 대하여 강론한 것이 내용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 내용은 탕서(湯誓)·태갑(太甲)에서 소고(召誥)·군아(君牙) 편까지인데, 제왕의 치도와 경계에 대한 것이다. 천하의 질서와 어지러움은 군왕의 한 몸에 달려 있기 때문에, 제왕의 학문을 닦고 정심(正心)으로써 의리를 분별하여 일상생활 속에서 성찰(省察)과 극기(克己)로 실천할 것을 강조하였다. 특히, 군왕은 하늘이 백성을 위하여 세운 것임을 명심하여 항상 조심하고 두려워하는 마음으로 위민정치(爲民政治)를 실시하도록 진언하였다.

1579년과 1581년에는 총11회에 걸쳐서 『춘추(春秋)』를 강론하고, 1585년에는 3회에 걸쳐서 『강목』을, 또한 1594년에 1회와 1595년에 2회는 『주역(周易)』을 강론하였다. 당시 임진왜란으로 인한 백성의 참상을 계품(啓禀)하여 어진 선비에게 정사를 맡기고 기강을 확립할 것을 논하였다.

김우옹은 매번 강론에 임하여 선조에게 존심양성(存心養性)을 아뢰었고, 천리(天理)와 인욕(人欲)의 분별을 주장하였으며, 특히 경(敬)과 의(義)를 강조하였다. 경연에서 강론할 때는 공정한 입장에서 간단명료하게 논점을 지적하여 분석함으로써 당시 최고의 강관으로 알려졌다. 그는 남명(南冥)조식(曺植)의 외손서(外孫婿)로서 조식에게서 학문을 배우고 관직에 나아가 경연에서 자주 학문적 문제와 정치에 시책을 진언하여 선조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 또한 당시 세자였던 광해군의 좌부빈객(左副賓客)으로서 경연에 나아가 강의하기도 하였다.

1573년 부수찬으로서 경연에서 요(堯)·순(舜)·우(禹)·탕(湯)의 심법(心法)을 역설하며 유교적 정치이념과 위정자의 정치도의를 밝히는 한편, 주경공부(主敬工夫)를 논하여 왕의 정신수양의 원리를 강조하였다. 이때 왕명에 따라 「성학육잠(聖學六箴)」을 올렸는데, 그 내용은 정지(定志)·강학(講學)·경신(敬身)·극기(克己)·친군자(親君子)·원소인(遠小人) 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선학을 존중하고 널리 인재를 등용할 것을 주장하였다.

저서로는 『동강집(東岡集)』·『속자치통감강목(續資治通鑑綱目)』등이 있으며, 편서로 『경연강의(經筵講義)』가 있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장서각에 『동강경연강의(東岡經筵講義)』라는 서명으로 소장되어 있으며, 규장각에는 『경연강의(經筵講義)』라는 서명으로 소장되어 있다. 규장각본은 장서각본의 1책 72장보다 10장이 많은 1책 82장이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당시의 정치에 관한 제반 논의가 기술되어 있어 조선시대 정치사 연구에 귀중한 참고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金宇顒의 敎育思想 硏究」(金一文, 계명대학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2002)
「東岡 김우옹의 帝王敎育論」(宋準湜, 『南冥學硏究論叢』10, 2002)
「동강(東岡) 김우옹의 학문과 사상 연구-생애와 경세사상을 중심으로-」(권인호, 『南冥學硏究論叢』 2, 1992)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lib.aks.ac.kr)
규장각한국학연구원(e-kyujanggak.snu.ac.kr)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