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별천자문 ()

목차
언어·문자
문헌
대구의 재전당서포에서 김기홍이 천자문 학습을 위하여 1913년에 간행한 교재. 문자학습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대구의 재전당서포에서 김기홍이 천자문 학습을 위하여 1913년에 간행한 교재. 문자학습서.
내용

『부별천자문』은 1913년 대구의 재전당서포(在田堂書鋪)에서 간행한 목판본 천자문 학습서이며, 편집 및 발행자는 김기홍이다. 이 책은 천자문으로서는 특이하게도 수록된 한자를 관계에 의거하여 분류하여 천자문이라기보다는『훈몽자회(訓蒙字會)』나『신증유합(新增類合)』과 같은 문자학습서에 가까운 체재를 갖추고 있다.

분류 항목은 천문(天文), 지리(地理), 인륜(人倫), 사행(事行), 신체(身體), 복식(服食), 기용(器用), 산정(算程), 궁실(宮室), 보배(寶貝), 음식(飮食), 미곡(米穀), 채종(菜種), 과품(果品), 화초(花草), 임목(林木), 비금(飛禽), 주수(走獸), 어류(魚類), 충족(蟲族)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분류적인 체재로 이루어진 천자문은 사실상 『부별천자문』이 유일하다.

지방 판본임에도 불구하고 훈(訓)에 나타난 언어는 문헌어의 규범적인 영향을 크게 받아 당시의 방언적인 요소가 크게 미약하다. ‘아지미’〔嫂〕, ‘시승’〔師〕, ‘정배기’〔頂〕, ‘허구리’〔膁〕등이 겨우 방언적인 요소를 띨뿐이다. ‘허구리’는 ‘허리’와 ‘옆구리’의 혼효형(混淆形)으로 지금의 경상 방언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참고문헌

「영남방언의 통시적 변천」(백두현,『민족문화논총』20,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