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방언 ()

언어·문자
개념
사회적 변인인 사회 계층 · 연령 · 성별 · 종교 · 인종 등의 차이로 이루어진 방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사회적 변인인 사회 계층 · 연령 · 성별 · 종교 · 인종 등의 차이로 이루어진 방언.
개설

일정한 공통어를 구사하는 사람들일지라도 사회 계층·연령·성(性)·종교·인종 등이 다르면 상이한 변종을 사용한다. 사람은 성에 따라 서로 다른 언어를 구사한다. 남성의 언어와 여성의 언어 간에는 차이가 있다. 이것은 남성과 여성의 뇌 구조가 다르고 경험하는 사회 문화가 다른 데서 기인한다. 또한 사람은 연령에 따라 상이한 언어를 구사한다. 사람은 세대에 따라 상이한 문화 경험을 하기 때문에 세대 간에 언어 차이가 있다. 사람은 자신이 속하여 있는 사회 조직의 구성원들에게서 언어적 영향을 받는다. 그리하여 상류 계층, 중류 계층, 하류 계층은 각각 서로 다른 방언을 구사한다. 종교와 인종이 다르면 서로 차이가 있는 방언을 언어를 사용한다. 이렇게 사회방언은 동일 언어권에서 다양한 사회적 환경에 차이에 따라 나타나는 방언이다.

연원 및 변천

미국에서 1960년대부터 사회방언에 관한 연구를 본격적으로 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1960년대부터 1980년 이전까지 은어, 비속어, 궁중 용어, 여성어, 우상집단의 특수어, 금기어와 길조어, 직업어, 경어법 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런데 1980년대에 이후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남성어와 여성어의 차이, 연령별 언어 특성, 사회 계층별 언어 특성, 한국인의 언어 태도, 욕설, 호칭어, 금기어, 경어법, 통신 언어, 광고 언어, 담화 분석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내용

사회방언은 성·연령·사회 계층·종교·인종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 여성은 표준어와 품위 있는 말을 남성보다 더 선호한다. 여성은 상대높임법의 비격식체를 남성보다 더 많이 사용하는데, 남성은 격식체를 여성보다 더 많이 사용한다. 여성은 유대 관계를 중시하고, 남성은 지배 관계를 중시한다. 이 때문에 대화를 할 때 여성은 경쟁적 전략보다 협조적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는데 비해서, 남성은 협조적 전략보다 경쟁적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한다.

일상 언어생활에서 우리나라의 60대 이상인 사람 중에는 어려운 한자어를 사용하는 이가 그 이하의 세대보다 많다. 그런데 40대 이하에 속하는 사람들 중에는 50대 이상의 세대보다 통신언어를 사용하는 이가 많다.

우리나라의 경우 상류 계층에 속하는 사람은 하류 계층에 속하는 사람에 비해 외국어를 국어에 섞어 쓰는 이가 많은데, 하류 계층에 속하는 사람은 상류 계층에 속하는 사람에 비해 토박이말을 즐기는 경향이 있다.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비속어를 사용하는 사람은 상류 계층에 속하는 사람보다 하류 계층에 속하는 이가 더 많다.

어떤 종교를 독실하게 믿는 사람 중에는 그 종교의 용어를 대화에 섞어 쓰는 이가 많다. 기독교 신도는 기독교 용어를, 불교 신도는 불교 용어를 자신의 일상 대화에 섞어 사용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인종이 다르면 동일한 국어를 달리 구사하게 된다. 국제결혼을 하여 우리나라에 이주하여 사는 사람은 자신의 일차 언어의 간섭을 받아 한국어를 어색하게 발음한다. 최근에 정부에서는 이러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현황

그동안 우리나라의 사회방언 연구자는 대부분 정부의 지원이 없이 사회방언을 연구해온 탓으로 선진국에 비해 우수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그런데 21세기 이후 정부의 지원으로 미시적, 거시적으로 사회방언을 연구해서 국어 사회방언의 특성이 많이 밝혀지고 있다.

의의와 평가

사회방언에 관한 조사연구 자료는 국어의 특성을 규명하는 데 기여한다. 그리고 일정한 언어 사회 구성원들이 의사소통을 효과적으로 하고, 국가가 언어정책을 펴는 데 이바지하는 바가 많다.

참고문헌

『한국어 사회방언과 지역방언의 이해』(이주행, 한국문화사, 2007)
『주요 국가의 사회언어학 연구 동향』(국립국어원, 2004)
『인터넷 통신언어의 이해』(이정복, 월인출판사, 2003)
『사회언어학』(박영순, 한국문화사, 2001)
『사회언어학』(이익섭, 민음사, 1994)
「교실 담화 조직 연구-대화분석적 접근 방법-」(김규현,『사회언어학』7-2, 1999)
「한국 사회 계층별 언어 특성에 관한 연구」(이주행,『사회언어학』7-1, 1999)
「국어 남녀 언어의 사회언어학적 특성 연구」(민현식,『사회언어학』5-2, 199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