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복음전래사 ()

천주교
문헌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1784년 교회창설부터 1801년 신유박해까지의 한국 천주교회의 역사를 기록한 천주교서. 천주교통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1784년 교회창설부터 1801년 신유박해까지의 한국 천주교회의 역사를 기록한 천주교서. 천주교통사.
개설

『조선복음전래사』의 원래 제목은 알 수 없다. 달레(Dallet, 1829∼1878)의 『한국천주교회사(Histoire de l'Eglise de Corée)』와 다블뤼(Daveluy, 安敦伊, 안토니오, 1818∼1866) 주교의 『조선 순교사 비망기(Notes de Mgr. Daveluy pour l'Histoire des Martyrs de Corée)』에, 한국 천주교회의 기원과 관련된 기록은 대부분 정약용이 남긴 『조선에 복음이 들어온 것에 관한 회상록(des mémoire sur l'introduction de l'Evangile en Corée)』에서 인용하였다고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이 책의 이름을 편의상 『조선복음전래사』로 붙인 것이다. 다블뤼 주교가 조선교회 순교자의 자료를 수집하던 1856∼1862년 사이에 본서도 수집되었으나 1863년 주교관 화재로 소실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까지 그 사본조차 발견되지 않고 있다.

편찬/발간경위

정약용은 1784년 한국 천주교회가 창설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한 사람이지만 1801년 신유박해 때 배교하여 생명을 지켰다. 1818년강진에서 해배되어 고향인 경기도 광주의 마재[馬峴]로 돌아오자 전날의 배교 행위를 반성하고, 조선 땅에 천주교회가 창설되어 박해를 당하게 된 내력에 대하여 자신의 목격담을 이 책으로 남기게 되었다.

내용

『조선복음전래사』는 주어사(走魚寺)·천진암(天眞菴)에서 이루어진 강학(講學), 정약용 형제에 대한 이벽(李檗, 1754∼1785)의 선상 설교, 이벽과 이가환(李家煥, 1742∼1801)의 토론, 권일신(權日身, 1742∼1791)의 입교와 최후에 관한 사항 등이 기록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 내용들은 ‘자찬묘지명(自撰墓誌銘)’을 비롯하여 다산이 쓴 여러 개 묘지명의 내용과 일치한다. 그 때문에 혹자는 이 책이 별도의 단행본으로 존재한 것이 아니라, 이러한 묘지명들을 통칭(通稱)한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의의와 평가

『조선복음전래사』는 조선 신자가 지은 최초의 한국천주교회사 통사(通史)에 해당되며 정확하고 간결한 것이 그 특징이다.

참고문헌

「다산 서학에 관한 논의」(최석우,『다산 정약용의 서학사상』, 다섯수레, 1993)
「정약용의 한국복음전래사」(김옥희,『한국천주교사상사Ⅱ-다산 정약용의 서학사상연구-』, 순교의맥, 199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