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강의보 ()

유교
문헌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중용』을 풀이한 주석서. 경학서 · 유학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중용』을 풀이한 주석서. 경학서 · 유학서.
개설

조선 후기의 실학자 정약용이 정조(正祖)가 제기한 『중용』의 의문(疑問)에 대해 올렸던 답변서를 이후 수정 보완하여 완성한 책으로, 『중용자잠(中庸自箴)』과 함께 『중용』에 대한 정약용의 독창적 해석이 잘 나타나 있다.

내용

정약용은 22세 되던 1783년에 생원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진학하였는데, 그 이듬해에 정조가 『중용』 가운데 의문나는 내용 70조목을 태학생들에게 내려주고 대답하게 하였다. 이에 정약용은 친구인 이벽(李壁)과 더불어 주어진 문제를 함께 토론하고 상의하여 답을 작성하여 올렸다.

정약용이 올린 대답을 보고 정조는 “정약용이 누구냐? 그의 학문이 어떠냐? 다른 성균관 유생의 답은 대개 거친데 홀로 정약용의 대답만이 독특하다. 그는 반드시 학식이 있는 선비이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그 후 1793년 정약용은 이것을 다시 정리하면서 자신의 대답이 견강부회하여 본지에 어긋난 것이 있음을 깨달았다. 그래서 강진에서 유배 생활을 하면서 1814년에 갑진본(1784) 구고(舊稿)를 수정하는 작업을 하면서 애초에 정조가 묻지 않은 문제 가운데도 중요한 것은 논의를 보태어 증보하여 모두 6권으로『중용강의보』를 완성하였다.

다산은『중용강의보』에서 중용(中庸)의 용(庸)을 평상(平常)이 아니라 항상(恒常)으로 해석하였다. 그리고 “천명지위성(天命之謂性)”의 ‘천’을 인격적 상제로 해석하고, 성리학적 음양오행론과 인물성론을 비판하였으며, 성(性)이란 기호(嗜好)를 가리킨다고 주장하였다.

의의와 평가

『중용강의보』에는 정약용의 초년기 사상의 특성과 『중용』 해석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으며, 그것이 어떻게 중년 이후의 사상으로 이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유학과 서학이 만나서 이루어진 창조적 경학 해석의 모범적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참고문헌

『중용강의보(中庸講義補)』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영인본)』(여강출판사, 1985)
『다산실학탐구』(금장태, 소학사, 2001)
『정약용과 실천의 철학』(장승구, 서광사, 2001)
『정다산의 경학』(이을호 외, 민음사, 1989)
『다산경학사상연구』(이을호, 을유문화사, 196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