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과학기술대학교 ()

경기과학기술대학교 로고
경기과학기술대학교 로고
단체
경기도 시흥시 경기과기대로(정왕동)에 있는 사립전문대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기도 시흥시 경기과기대로(정왕동)에 있는 사립전문대학.
개설

산업자원부(현 산업통상자원부)가 설립한 학교법인 한국산업기술대학에서 운영하는 사립 전문대학으로, ‘창조(Creation), 협동(Cooperation), 겸손(Modesty)'을 교훈으로 한다. 홍익인간의 정신으로 문화세계를 창조하고, 장인정신이 투철한 전문기술인을 양성하며, 지역사회 발전을 선도하는 산학협력을 추진함을 설립취지로 한다.

연원 및 변천

1966년 4월 UNESCO와의 협력으로 국내 최고의 특수분야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상공부(산업자원부의 전신, 지금의 지식경제부) 산하 한국정밀기기센터(FIC) 내에 2년제 전문기술교육과정 4개 학과를 개설하여 출발하였다. 1989년 상공부 산하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부설기관으로 이전하여 ‘기술교육센터’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94년 확대경제장관회의에서 사립개방대학 형태의 학교법인을 설립할 것을 결정한 후, 1995년 「공업 및 에너지기술 기반조성에 관한 법률」 및 동법 시행령에 의해 ‘산업기술교육센터’로 기관 명칭을 변경하였다. 1995년 학교법인 한국산업기술대학의 설립 허가와 더불어 1997년 산업기술교육센터를 전문대학으로 전환하여 설립한다는 방침 하에 1998년 대학 설립인가를 받았고, 1999년 정원 800명의 2년제 사립 전문대학으로 개교하였다.

현황

2012년 2월 경기공업대학이 경기과학기술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0년 현재 기계·자동화부, 자동차·에너지부, IT·경영부, 디자인·문화부의 5개 학부에 메카트로닉스과, 자동화로봇과, 정밀기계과, 전기제어과, 그래픽디자인과 등 3년제 5개 학과와 금형디자인과, 기계설계과, 전자통신과, 컴퓨터정보시스템과, 산업경영과, 공조기계과, 청정환경과, 디지털미디어디자인과, e-비즈니스과, 자동차과, 아동보육복지과, 신재생에너지과, 건축설계과, 아동영어과, 중소기업경영과 등 2년제 15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부속기관으로는 도서관, 평생교육원(경기산업교육원), 국제교류원, 고정밀계측기술센터학교기업이 있다. 2004년 문을 연 경기공업대학 산학협력단은 2009년 산학협력중심대학 육성사업에 선정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여 전문대학 특성화사업, 주문식 교육지원사업 등을 수행하였으며, 2010년 현재 차세대 임베디드시스템 기술인력 양성사업, 중소기업산학협력센터/창업보육센터, 가족회사제도 등을 운영하고 있다.

우수한 교육과정의 운영을 바탕으로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을 운영하고 있는데, 2007년 전자통신학과를 시작으로, 2009년 산업경영과, 메카트로닉스과, 자동화로봇공학과, 정밀기계공학과, 전기제어공학과에 대해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의 설치 및 정원 증원을 인가받았다.

입학성적우수 장학금, 근로장학금, 면학장학금 등의 교내 장학금과 한국학술진흥재단 장학금, 문숙장학재단 장학금 등 교외 장학금을 통해 학생들을 지원하고 있으며, 지방 원거리 학생 및 외국학생들을 위하여 총 312명을 수용할 수 있는 ‘K-Space’라는 기숙사 시설을 제공하고 있다. 매년 5월에 열리는 ‘한어울림체육대회’, 10월에 실시하는 ‘한울제’ 등의 학교행사가 있으며, 로봇동아리 RnA, 자작차 동아리 WHAT, 아마추어 무선 동아리 HAM 등과 같은 전공 및 학습관련 동아리뿐만 아니라, Jayhawk utd(축구), NYX(음악밴드) 등과 같은 취미활동 동아리 등 학생활동도 활발하다.

의의와 평가

이공계 중심 전문대학으로서 현장경험이 풍부한 교수진과 해외기술선진국으로부터 도입한 첨단기술교육 시스템을 갖추고, 재교육이 필요 없는 우수한 산업현장 기술인력의 양성에 힘쓰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대학연감 2009』(한국대학연감편찬위원회, 2008)
경기과학기술대학교(www.gtec.ac.kr)
한국대학홍보협의회(www.kupa.org)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