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 직후 상해에서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활약했던 신채호는 운동노선이 크게 다른 이승만이 대한민국임시정부(이하 임정) 대통령에 선출되고, 자신이 발간했던 『신대한(新大韓)』이 임정의 대변지『독립신문』(주필 이광수) 발간으로 중단되는 등 임정 측과 충돌이 빚어지자 상하이를 떠났다. 근거지를 베이징으로 옮긴 신채호는 인근의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비무장청년독립운동단체인 ‘대한독립청년당’을 조직하였다. ‘대한독립청년당’은 베이징에 본부를 두고 각 지방에 지부를 설치하는 등 적극적으로 조직을 확대했다. 교포청년의 지도에 열의가 높았던 신채호는 이러한 활동을 통해 베이징에서 교포 학생들의 구심점이 되었다. 창립 당시의 임원진은 단장 신채호, 부단장 한진산(韓震山), 내무 겸 재무 조동진(趙東珍), 외무 문철(文哲) 등이었다.
이러한 신채호의 활동은 임시정부의 외교노선과 준비노선이 구체적 실천력을 잃은 것이라 비판하고 무장노선에 입각한 독립운동의 방략을 취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 따른 것이었다. 이러한 신채호의 무장독립운동노선은 1920년 4월 박용만(朴容萬) · 신숙(申肅) 등과 함께 ‘군사통일촉성회(軍事統一促成會)’의 발기로 이어져 만주에 흩어져 있는 독립군 단체들의 통일을 추진하였다. 또 1921년 1월에는 김창숙(金昌淑) 등의 지원을 받아 독립운동 잡지로서『천고(天鼓)』를 창간하여 일본 제국주의를 비판하였다. 1921년 2월에는 “우리동포에게 고함”이라는 성명서를 발표하여 ‘국민대표회의’의 소집을 요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