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독립전선 ()

목차
현대사
단체
1946년 좌우합작운동 시기에 결성된 중간파 또는 제3세력의 연합체로서 민족의 자주독립을 쟁취하려는 모든 혁명적 정당단체와 애국자들의 총집결을 호소하면서 조직한 단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46년 좌우합작운동 시기에 결성된 중간파 또는 제3세력의 연합체로서 민족의 자주독립을 쟁취하려는 모든 혁명적 정당단체와 애국자들의 총집결을 호소하면서 조직한 단체.
개설

민주주의독립전선(이하 독립전선)은 1946년 좌·우 갈등이 심해 분단을 우려하면서 좌·우 연합전선 성격을 띠고 이념의 좌·우 편향을 버리고 먼저 민족의 자주독립을 위해 총집결할 것을 호소하며 조직되었다. 이극로(李克魯), 이동산(李東山), 조봉암(曺奉巖), 배성룡(裵成龍) 등이 이끌었고 민족주의 계열의 여러 정당과 단체 및 개인들이 참여하였다. 참여단체로는 청우당, 신진당, 근로대중당, 사회대중당, 해방동맹, 독립운동자동맹, 조선민중해방동맹, 좌우합작촉성회, 조선어학회, 해운협회 등이 있었다. 그리고 신민중동맹, 조선청년당, 재미한국연합회, 3·1 건국동지회, 천도교, 진단학회, 유도회, 불교중앙정무원 등의 단체가 지원했다.

독립전선은 1947년 4월에 미소공동위원회 각파 연합대회를 주최하는 등 남한의 정당·사회단체들이 미소공위에 참여하고 통일국가 수립을 위해 이 위원회가 성공하도록 도와야 한다는 결의문을 채택했다. 독립전선은 특정 이데올로기나 강령·정책으로 결합된 조직이 아니어서 유연성은 높았지만, 결속력은 취약했다.

결국 1948년 5·10 선거 참여 여부를 둘러싸고 내부에서 논란을 벌이다 성과를 이루지 못한 채 와해되었다. 이후 이극로 계열은 북으로 올라가고, 조봉암과 그의 계열은 남한에 남아 독자적 정치노선을 도모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조봉암과 1950년대』(서중석, 역사비평사, 1999)
『조봉암 연구』(박태균, 창비, 1995)
『죽산 조봉암』(이영석, 원음출판사, 198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