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자 ()

목차
고대사
유물
호랑이 모양으로 만들어진 남성용 이동식 변기.
이칭
이칭
호랑이모양 변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호랑이 모양으로 만들어진 남성용 이동식 변기.
내용

호자(虎子)의 용도에 대해서는 주기(注器)라는 견해와 변기라는 견해로 나뉘는데, 변기일 가능성이 높다. 변기를 호랑이 모양으로 만든 것은 산신이 호랑이를 불러 입을 벌리게 하고 소변을 보았다는 중국의 전설과 관련된다. 중국에서는 춘추시대 이후 나무, 청동, 토기와 자기로 만든 호자가 사용되었으며 무덤에 부장되었다. 특히 동오(東吳), 동진(東晋)을 거쳐 남북조로 이어지는 육조(六朝) 귀족 사이에서 애용되었다.

한반도에서 발견된 가장 이른 시기의 호자는 개성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해지는 청자 호자인데 그 형태를 볼 때 서진(西晋), 혹은 동진 초기에 만들어진 것이 수입된 것이다. 이 청자 호자를 통해서 백제 귀족들이 3세기 말, 혹은 4세기 초에 이미 이동식 변기를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부여 군수리유적에서 발견된 토제 호자는 호랑이가 입을 크게 벌린 채 고개를 약간 돌린 형태이다. 재질은 일반적인 백제 토기와 동일해서 중국제 수입품의 국산화가 이미 진행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밖에도 웅진-사비기에 속하는 것으로써 여수 고락산성과 부여 관북리유적에서 출토된 토제 호자는 호랑이의 형태가 퇴화되었다. 호자는 통일신라 이후에도 귀족과 승려 사이에서 계속 사용되었는데, 형태는 더욱 간략화 되어 호랑이의 모양은 거의 남아 있지 않게 된다.

참고문헌

「백제의 문물교류 양상에 대한 유형화 시론」(권오영, 『대백제국의 국제교류사』, 충청남도역사문화원, 2008)
「백제토기」(김종만, 『백제의 미술』, 충청남도역사문화원, 2007)
「동아대학교박물관 소장 원통형호자」(신인주, 『고고역사학지』16-단설이난영박사정년기념논총-, 2000)
「전개성출토 청자호자에 대한 고찰」(은화수, 『고고학지』9,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98)
「백제호자 이례」(서성훈, 『백제문화』12, 197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