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 ( )

목차
관련 정보
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
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
회화
유물
국가유산
1874년(고종 11) 2월 8일(양력) 창덕궁 관물헌(觀物軒)에서 고종과 명성왕후의 둘째 아들(순종, 1874-1926)이 탄생했을 때 산실청(産室廳)에 종사했던 관원들이 기념으로 제작한 계병(稧屛).
이칭
이칭
왕세자탄강진하계병(王世子誕降陳賀稧屛)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王世子誕降陳賀圖 屛風)
분류
유물/일반회화/기록화/궁궐도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05년 08월 12일 지정)
소재지
서울 종로구 효자로 12, 국립고궁박물관 (세종로,국립고궁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874년(고종 11) 2월 8일(양력) 창덕궁 관물헌(觀物軒)에서 고종과 명성왕후의 둘째 아들(순종, 1874-1926)이 탄생했을 때 산실청(産室廳)에 종사했던 관원들이 기념으로 제작한 계병(稧屛).
개설

「왕세자탄강진하도십첩병」의 주제는 원자(元子: 순종) 탄생 며칠 후인 2월 14일(양력) 인정전에서 거행된 원자 탄생을 경하하는 진하례이다. 조선시대에는 국가의 경사가 있으면 궁궐의 정전(正殿)에서 왕이 친림한 가운데 진하례를 베풀었다. 19세기에는 진하례가 끝난 뒤 여기에 참여하였던 문문백관들이 이를 기념하여 그림병풍을 만들어 나누어 가졌다. 이를 계병이라고 하는데 주로 당상관의 주도 아래 관청 단위로 만들어졌다. 모든 관청에서 행해진 관행은 아니었지만 여러 관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행해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 「왕세자탄강진하도십첩병」도 원자 탄생이라는 국가의 경사에 큰 공헌을 한 산실청 관원들의 기념 병풍이다.

내용과 특징

「왕세자탄강진하도십첩병」은 10첩 병풍으로 제1첩과 제10첩에는 좌목(座目)이 쓰여 있으며 나머지 8첩에는 인정전에서 거행된 진하례가 그려져 있다. 좌목에는 도제조(都提調) 이유원(李裕元, 1814-1888: 영의정), 제조 박제인(朴齊寅, 1818-1884: 예조판서), 부제조 이회정(李會正, 1818-1883: 승정원 도승지), 무공랑(務功郞) 신일영(申一永, 1845-?: 승정원 주서), 계공랑 김영철(金永哲, 1841-1923: 예문관 검열), 수의(首醫) 이경계(李慶季, 지중추부사), 대령의관(待令醫官) 홍현보(洪顯普, 1815-?: 삭령군수)·이한경(李漢慶, 1811-?: 內醫院正)·박시영(朴時永: 음죽현감)·전동혁(全東爀: 나주감목관), 그리고 별장무관 변응익(邊應翼, 1827-?: 울산감목관) 등 11명의 관직성명이 쓰여 있다. 관직명으로 볼 때 이들은 산실청을 구성했던 내의원의 당상관, 의빈(儀賓), 그리고 우두머리 어의(御醫)인 수의와 의관(醫官)들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진하는 19세기 가장 애호된 관청 계병의 주제였으며 「왕세자탄강진하십첩병」은 그대표적인 예 중의 하나이다. 화면에 묘사된 시각의 범위는 인정전을 중심으로 서쪽의 금호문(金虎門), 진선문(進善門)과 인정문(仁政門), 이문원(摛文院)이 그려지고 동쪽에 선정전과 희정당(熙政堂)을 지나 창덕궁의 경계 부근까지를 포함하고 있다. 같은 내용의 병풍 「왕세자탄강진하계병」이 국립중앙박물관에도 한 건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진연진찬진하도병』(서인화, 박정혜, 주디 반자일 저, 국립국악원, 2001)
『조선시대 궁중기록화 연구』(박정혜, 일지사, 2000).
집필자
박정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