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풍루 ()

건축
유적
북한 함경남도 홍원군 홍원읍에 있는 조선후기 홍원향교의 문루로 건립된 누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북한 함경남도 홍원군 홍원읍에 있는 조선후기 홍원향교의 문루로 건립된 누정.
개설

함경남도 홍원군 홍원읍 뒷산인 학두봉 기슭의 향교골에 날아갈 듯 우아한 합각지붕을 추켜든 듯이 세워져 있는 조선시대의 누정이다. 북한에서는 국가지정문화재 보존급 제356호로 지정해 놓고 있다.

역사적 변천

광풍루는 1620년에 건축되었으며 홍원향교의 문루였다. 다른 향교들과 마찬가지로 홍원향교에도 명륜당과 대성전을 비롯한 여러 건물들이 있었으나 현재는 광풍루만 남아 있다.

내용

축대를 높이 쌓고 그 위에 배흘림기둥을 1층에서 2층으로 이어서 올려 세운 정면 3칸(8.7m), 측면 1칸(4.3m)의 2층 누정이다. 기둥 위에는 창방을 수평 방향으로 놓고 그 직각 방향으로 내부에는 보아지가 되어 대들보를 받치는 초익공 살미를 조각하여 결구하였다. 그리고 그 위로 주두를 놓고 대들보를 걸어 놓은 초익공 형식의 포작을 이루었다. 2층 다락에는 난간을 둘렀으며 통천장이다. 바닥은 널마루이며 단청은 모루단청으로 장식되었다.

참고문헌

『조선향토대백과』13(평화문제연구소, 2005)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Ⅰ(서울대학교 출판부, 2002)
북한문화재 자료관(north.nricp.go.kr)
북한지역정보넷(www.cybernk.net)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