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두산성 ()

목차
관련 정보
회령 오국성 성벽 총안
회령 오국성 성벽 총안
건축
유적
북한 함경북도 회령시 유선노동자구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석축 성곽. 산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북한 함경북도 회령시 유선노동자구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석축 성곽. 산성.
개설

함경북도 회령군 유선노동자구에서 서북쪽으로 약 4㎞ 떨어진 산마루에 있다. 두만강변에 높이 솟은 운두산의 험한 산세를 이용하여 축조한 석성이다. 북한에서는 국가지정문화재 보존급 제476호로 지정해 놓고 있다. 운두산은 두만강에 면한 서쪽과 북쪽이 절벽으로 되고 동쪽과 남쪽이 산등성이로 둘러막혀 골짜기를 이루고 있어 산성 구축에 적합한 지형이다.

내용

이 산성은 둘레가 약 6㎞이며 동쪽과 남쪽의 산등성이에 성벽이 잔재해 있다. 외면축조법을 기본으로 양면축조법을 배합하여 쌓았고 성돌은 모두 4각추 형태로 다듬어졌다. 현존하는 성벽의 높이는 3~5m이다. 동, 서, 남, 북 4면에 성문을 냈으나 북문은 북쪽의 절벽을 피하여 동북쪽 골목에 배치하였다. 성에는 동, 서, 남 3개소에 성문터가 있으며 동문 부근에는 ‘옹56’으로 추측되는 흔적이 있다.

성 안에는 옛날 건물을 세웠던 자리가 있으며 중앙에는 ‘운연’이라고 새긴 비들이 있다. 동문과 남문에는 옹성을 축조하고 서문은 안쪽으로 약 50m 휘어든 성벽에 배치하여 성문 밖의 좌우 성벽이 옹성을 대신하게 하였다. 동, 서, 남, 북 4곳에 장대를 배치하였다. 그 중 남장대와 동장대는 봉우리 위에, 서장대와 북장대는 절벽 위에 설치하였다. 성안에서 솟아나는 물은 모두 한 곳으로 합류시켜 서쪽 수구문을 통하여 두만강에 유입되게 하였다.

의의와 평가

운두산성은 북한 동북 지방에 위치한 성으로서 고구려 역사와 함께 고구려성의 배치 및 국토 방위 체계를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조선향토대백과』14(평화문제연구소, 2005)
『조선대백과사전』28(백과사전출판사, 2001)
북한문화재 자료관(north.nricp.go.kr)
북한지역정보넷(www.cybernk.net)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