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동리 고인돌 ( 고인돌)

목차
관련 정보
배천 용동리 고인돌 전경
배천 용동리 고인돌 전경
선사문화
유적
북한 황해남도 배천군에 있는 초기국가시대 고조선의 탁자식 고인돌군. 지석묘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황해남도 배천군에 있는 초기국가시대 고조선의 탁자식 고인돌군. 지석묘군.
내용

황해남도 3대 고인돌의 하나로, 고조선시대의 유적이다. 해발 100m 안팎의 해월산 남쪽 중턱과 기슭에 탁자식〔卓子式, 五德型〕 고인돌 19기가 반달모양으로 분포하는데 고임돌〔支石〕과 막음돌〔閉塞石〕, 뚜껑돌〔上石〕이 잘 남아 있는 편이다. 이곳에서 서북쪽 600m 지점에도 같은 형식의 고인돌 수 십기가 있다.

용동리고인돌은 고임돌들과 막음돌, 그리고 뚜껑돌로 이루어져 있다. 고임돌은 땅을 평평하게 닦은 다음 기초를 하고 세웠으며, 막음돌들은 고임돌에 기대어 세웠다. 고임돌 위에 큰 판돌 한 장을 뚜껑돌로 덮어 무덤칸을 마련하였다. 뚜껑돌의 길이는 7.1m, 너비는 5m, 두께는 0.6~1m이다. 고인돌은 전체의 높이가 3.1m이며 동남방향으로 놓여 있다.

용동리고인돌에서 서, 남, 북의 세 고임돌은 뚜껑돌과 빈틈없이 맞물려 있는데 동쪽막음돌만은 그렇지 않다. 이것은 동쪽 막음돌이 무덤칸에 드나들기 위한 출입문으로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고인돌 4면의 판돌은 고르면서도 위로 올라가면서 점차 얇아진다. 그러나 뚜껑돌만은 면이 고르지 못하고 둔한 편이고, 이 고인돌은 화강편마암을 다듬어 만들었다. 해월산 남쪽 중턱 비탈진 곳에 화강편마암 판돌들이 널려 있는데 이곳이 고인돌 석재를 채취하던 채석장(採石場)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조선향토대백과』8 (평화문제연구소, 2005)
『고고학사전』(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조선유적유물도감』 1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편, 1988)
『우리나라 력사유적』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3)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