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종 설화 ( )

구비문학
작품
조선 6대 임금인 단종(端宗)에 관한 설화.
내용 요약

「단종 설화」는 조선 6대 임금인 단종(端宗)에 관한 설화이다. 단종이 강원도 유배지에서 보여준 행위와 장소를 연결 지은 지명 전설도 있고, 그의 비극적인 죽음에 관하여 증언하거나 지역의 신이 되어 제향 받는 이야기도 있는데, 비극적으로 희생된 인물을 신격화하고, 원통한 마음을 풀어주려는 민중 의식을 살필 수 있다.

목차
정의
조선 6대 임금인 단종(端宗)에 관한 설화.
내용

단종에 관한 설화로는 유배 장소와 관련이 있는 지명 전설이 확인된다. 단종이 넘었다고 해서 이름이 붙은 군등치(君登峙), 서울 생각에 서산으로 지는 해를 향해 절을 했다는 배일치(拜日峙), 유배 장소였던 청령포(淸泠浦), 매일 한양 땅을 바라보며 시름에 잠겼다는 노산대(魯山臺) 등이 있다. 단종의 행위와 장소를 연관지어 지명 전설이 탄생하였다.

한편, 「단종 설화」에서는 단종에게 특정한 행위를 하고 비극적인 죽음에 이르게 한 인물들에 대한 의미를 강화하고 있다. 단종의 죽음에 관하여 문헌 설화에서는 대부분 타살로 이야기하며 구비 설화에서는 대부분 자살로 이야기한다. 타살 이야기는 권력의 폭압에 대한 비판 의식이 강하고, 자살 이야기는 단종을 지키지 못한 자기 반성과 애도의 마음이 강화된다.

「단종 설화」가 주요하게 전승되는 지역에서 그의 죽음 뒤의 이야기는 주목할 만하다. 단종은 죽임을 당한 것으로 그치지 않고 태백 산신으로 변해서 특정한 지역의 영원한 생명력을 고양한다. 이는 그의 죽음을 인정하지 않으려고 하는 의도가 존재하였다는 뜻이다. 또한 단종의 한 많은 생애를 새로운 차원에서 주4시키려고까지 한다. 여기서 해원 사상에 의한 굿 이야기가 덧붙여진다. 「단종의 혼령을 모신 여량 성황당 전설」이나 「무당굿으로 달랜 단종의 원한」 등은 해원 사상의 핵심 대목이다. 단종이 단순하게 태백 산신으로 변한 것이 아니라 특정한 고장에 이르러서는 주5의 성황당신으로 변하기도 한다. 이는 죽은 인물의 해원이 민중에게는 주목할 만한 사실임을 보여 준다. 무당이 굿을 해서 한을 풀어 준다고 하는 점도 주목할 만한 변이이다.

의의와 평가

「단종 설화」는 세계의 불가피한 주6에 희생된 인물을 중심으로 하는 설화이다. 인물 전설이기 때문에 세계의 폭거 앞에 좌절하는 인물을 주인공으로 삼았다. 그렇지만 설화에서는 역사 속에서 민중들이 거부할 수 없었던 기억을 인물의 상실과 패배로만 그리지 않는다. 이 죽음을 민중의 기억 속에 각인시키기 위해서, 주인공을 신성한 존재, 불멸의 존재, 우리의 한을 각인시키는 역사적 존재로 환원시킨다. 그리하여 설화 속에서 단종은 신성한 신으로 변화하게 되었고, 동시에 새로운 차원의 인물로 거듭났다. 그 점에서 「단종 설화」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은 역사적 인물 전설의 확장판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김용구 외, 『강원의 설화』(강원도, 2005)
최명환, 「단종」(『한국민속문학사전: 설화 1』, 국립민속박물관, 2012)
최승순 외, 『태백의 설화』(강원일보사, 1974)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8)

논문

이승민, 「단종 죽음 관련 설화에 담긴 전승의식 연구 - 문헌설화와 구비설화의 비교를 통하여」(『구비문학연구』 56, 한국구비문학회, 2020)
최명환, 「단종설화의 전승 양상 연구」(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주석
주1

층층이 쌓임. 우리말샘

주3

사실을 과장하거나 미화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4

원통한 마음을 풂. 우리말샘

주5

강원도 정선군 여량면에 있는 이. 여량면의 중부에 위치해 있으며, 대부분 산지이다. 중앙에 염장봉과 꽃벼루가 솟아 있다. 골지천과 송천이 흐르며, 주변에 농경지와 주거지가 형성되어 있다. 면 행정 복지 센터가 들어서 있고, 42번 국도가 중앙을 관통한다. 우리말샘

주6

난폭한 행동.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