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한사전(露韓辭典)
체재는 ‘노한사전’이라는 제목이 표시하는 바와 같이 주제어인 러시아어를 시릴릭문자(Cyrillic文字)의 알파벳순으로 나열하고, 이에 대하여 한국어를 하나하나 대역하였는데, 한국어는 명사인 경우에 1∼3단어, 동사인 경우에는 2, 3종의 어형변화를 시도해 보이고 있다. 예컨대, 먼저 ‘Гοродни чий Начальник’라는 러시아어 주제어 다음에 이에 해당하는 한국어 어휘의 음(音)을 ‘пyca, caттyu, caттo’ 등과 같이 시릴릭문자로 쓴 뒤, 한글로 ‘부ᄉᆞ, 삿뒤, 삿ᄯᅩ’ 등과 같이 기입하였다. 여기서, 러시아어 ‘Гοродничий Начальник’는 장관(長官) · 시장(市長) 등을 의미하고, ‘부ᄉᆞ’는 부사(府使), ‘삿뒤, 삿ᄯᅩ’는 사또[使道]를 의미한다. 이 사전에 수록되어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