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 용소동굴(旌善 龍沼洞窟)
만약 동굴에서 관찰되는 척추동물이 동굴의 특수 환경에 적응한 종으로 판명될 경우 동굴생태학적 가치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동굴 생성물은 없으나 호수 구간이 시작되는 지점에서 수중으로 수평, 수직, 경사로 수중동굴의 통로가 발달해 있다. 또한 용소동굴은 석회암 지역의 지하수 유동, 석회동굴의 형성과정 등을 밝힐 수 있어 지형학적으로도 큰 가치를 지니고 있다. - 『지오시스템』(Robert W. Christopherson 저, 윤순옥 외 옮김, 시그마프레스, 2012) - 「지리정보체계(GIS)를 이용한 Karst연구의 가능성」(오종우, 『동굴』40, 1994) - Limestone Cave(Roy A. Gallant. Franklin Watts, 1998) - 문화재청(www.cha.go.kr) - 정선관광(www.ariaritou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