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 운곡리 고인돌(高敞 雲谷里 고인돌)
B-3호의 돌널은 길이 1.1m, 너비 0.6m, 깊이 0.3m의 소규모이다(B-3·4호, C-1호). 제3형은 뚜껑돌을 괸 점은 위와 같으나 지하구조는 없고, 몇 개의 편평한 돌을 깔았을 뿐이다(A-4·6·7호). 제4형은 괴석이나 자연판석을 세워 장방형의 돌널을 만들고, 그 위에 직접 뚜껑돌을 얹었다. 돌널의 벽이 바로 굄돌이 되는 셈이다. 껴묻거리는 없으나, 운곡리 민무늬토기 산포지에서 덧띠겹아가리(粘土帶二重口緣) 토기편 등이 발견되고 있어, 이들 고인돌의 지하구조의 특징과 함께 고려해볼 때, 그 축조연대는 서기전 3세기 말에서 2세기경에 걸친 것으로 보인다. - 『한국지석묘연구』(김재원·윤무병, 국립박물관, 1967) - 「고창지방의 북방식지석묘 3례」(전영래, 『전북유적조사보고』 14, 1983) - 「고창 아산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