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한사전(露韓辭典)
저자의 서문에 의하면, 이 사전은 1872년에 이미 완성되었으나 비용이 없어 출판을 미루어 오던 중, 1873년 세계여행길에 연해주에 들렀던 대공작 알렉산드로비치의 하사금에 의하여 1874년에 사전출판이 가능하게 되었다고 한다. 체재는 ‘노한사전’이라는 제목이 표시하는 바와 같이 주제어인 러시아어를 시릴릭문자(Cyrillic文字)의 알파벳순으로 나열하고, 이에 대하여 한국어를 하나하나 대역하였는데, 한국어는 명사인 경우에 1∼3단어, 동사인 경우에는 2, 3종의 어형변화를 시도해 보이고 있다. 예컨대, 먼저 ‘Гοродни чий Начальник’라는 러시아어 주제어 다음에 이에 해당하는 한국어 어휘의 음(音)을 ‘пyca, caттyu, caттo’ 등과 같이 시릴릭문자로 쓴 뒤, 한글로 ‘부ᄉᆞ, 삿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