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모방설(古篆模倣說)
김완진(1983)은 ‘훈민정음’의 중성(ㆍ, ㅡ, ㅣ,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ㅘ, ㅝ), 초성(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ㆁ), ㅈ, ㅊ, ㅋ, ㅌ, ㅍ, ㅎ, ㅿ 등)의 모양이 옛 전서에서 왔다고 추정하였다. 이 주장에서는 ‘세종 25년 12월조 기사’나 ‘최만리 등 집현전 학사들이 올린 상소문’에는 ‘훈민정음’ 창제에 관해 ‘자방고전’만 나오고 ‘상형’이란 말은 나오지 않다가 「정인지 서문」(1446)에 이르러 ‘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으로 ‘상형’과 ‘자방고전’이 같이 나온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그래서 세종 25년의 원안은 ‘자방고전(字倣古篆)’의 원리에 의해 창안되었으나 세종 28년에 반포된 훈민정음 28자는 보다 후대에 ‘상형(象形)’의 원리가 추가되면서 수정과 보완을 거쳐 나왔다고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