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운첩고(音韻捷考)
자음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의 순서이고, 된소리는 별도로 배열하지 않고 평음자모의 속에 포함시켰다. 모음은 ‘ㅏ, ㅐ, ㅑ, ㅓ, ㅔ, ㅕ, ㅖ, ㅗ, ㅚ, ○, ㅙ, ㅛ, ㅜ, ㅟ, ㅝ, ㅞ, ㅠ, ㅡ, ㅓ, ㅣ, ·, ○’의 순서이다. 현대의 자모 배열순서와 매우 비슷하다. 종성의 배열순서도 초성의 배열순서와 동일하다. 이 책의 한자석음에 나타나는 국어학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 어두된소리의 표기에는 합용병서와 각자병서가 다 사용되고 있다. 합용병서는 주로 ㅅ계를 사용하고 있으나 한자음의 된소리에는 각자병서만을 사용하고 있다[ᄭᆡᄃᆞ를 각(1a), ᄯᅳ물 감(1b), ᄲᅮᆯ 각(1a), 대○ 관(4b), 꺼플 갑(1b)〕.② 동사 ‘하다(爲)’의 어간 ‘하―’가 ‘허―’로 표기된 예들이 흔히 보인다〔가ᄂᆞᆫ헐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