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벽당문집(寒碧堂文集)
권상에 오언절구 60수, 칠언절구 62수, 오언율시 18수, 칠언율시 6수, 오언고시 2수, 칠언고시 3수, 악부(樂府) 3편, 가사 1편, 부(賦) 4편, 전(箋) 2편, 권하에 기(記) 3편, 지(誌)·설(說) 각 1편, 책(策) 2편, 부록으로 유사·묘갈명·금릉창의록(金陵倡義錄) 등이 수록되어 있고, 끝에 아들 치우(致禹)의 문집인 『영취재유고(暎翠齋遺稿)』가 실려 있다. 시는 평이한 시어를 구사하였는데, 매화·대나무·달의 순으로 읊은 「한벽당십영(寒碧堂十詠)」과 새소리를 듣고 읊은 「팔금영(八禽詠)」, 국한문혼용으로 노래한 「만흥삼결(漫興三闋)」 등은 모두 16세기의 시가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잡저의 「어적책(禦敵策)」은 임금이 족식족병(足食足兵) 외 선후본말과 조정을 바르게 하는 방법을 물은 데 대한 답책이고, 「치도책(治道策)」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