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야첨재(朝野僉載)
권4·5에 세종, 권6에 문종, 권7에 단종, 권8에 세조, 권9에 예종, 권10에 성종, 권11은 연산군, 권12·13에 중종, 권14에 인종, 권15에 없음, 권16·17에 명종, 권18∼30에 선조, 권31∼33에 광해군, 권34에 원종(인조의 아버지), 권35∼39에 인조, 권42∼50에 숙종 때의 사실을 각각 기록하고 있다. 권51·52에 별록으로 윤선거(尹宣擧)·윤증(尹拯)·송시열(宋時烈)·박세채(朴世采) 등의 예송문제(禮訟問題)에 관한 기록과 이들의 제자들이 여기에 대해 논란한 각종의 상소문과 임금의 문답 등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각 왕조에 부기되어 있는 명신소록(名臣小錄)과 진언 및 상소문 등은 소주(小註)의 형식을 빌려 설명하고 있다. 조선 왕조의 건국을 찬양하는 건국설화를 서두로 하여, 1인의 편저라고 볼 수 없을 정도로 조선조 이래의 각종 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