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정(茅亭)
것으로 수도작농업의 노동교환조직인 두레집단성원의 집합장소로 두레집단의 작업계획을 짜는 곳이며, 두레집단의 노동 후의 휴식장소이고, 농악놀이의 장소이며, 두레를 청산하는 장소로서도 기능한 것으로 보인다. 두레가 거의 소멸한 오늘에 있어서도 모정은 품앗이를 편성하는 곳이며, 품앗이집단이 모이는 곳이고, 그들이 휴식을 취하고 함께 들에 나가는 장소로도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 「모정이 농촌사회경제에 미친 영향」(최재률, 『호남문화연구』 4,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1966) - 「모정의 사회경제적기능의 이전과정」(박광순, 『호남문화연구』 4,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1966) - 「전남지방의 누정조사연구」 Ⅰ·Ⅱ·Ⅲ·Ⅳ(박준규, 『호남문화연구』 14·15·16·17,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1985·198·1987·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