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재폐추(竹齋幣추)
권1·2는 시로서 동협록(東峽錄)에 18수, 가림록(嘉林錄)에 50수, 저강록(楮江錄)에 14수, 단구록(丹丘錄)에 93수, 주계록(朱溪錄)에 63수, 남행록(南行錄)에 17수, 서유록(西遊錄)에 40수, 입포록(立甫錄)에 19수, 재경록(在京錄)에 24수, 습유록(拾遺錄)에 12수로 구성되어 있다. 권3은 단구록·주계록·은성록(殷城錄)·상유록(上游錄)·괴강록(槐江錄)·담주록(潭州錄) 각 1편, 권4는 가장(家狀) 1편, 권5는 잡저, 기(記) 7편, 서(序) 4편, 설(說) 2편, 주(奏) 6편, 권선문(勸善文) 1편, 제문 8편, 부(賦) 3편, 설 1편, 지(識) 1편, 발(跋) 2편, 명(銘) 1편, 논(論) 4편이 실려있다. 권6은 잡저, 소(疏) 4편, 논 5편, 제문 3편, 발 2편, 기 2편, 제문 8편, 애사 1편, 서(書) 11편, 권7은 사물에 관한 기록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는 많은 양이 있는데, 대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