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음(有聲音)
유성음은 성대의 진동을 수반하고 조음되는 소리이다. 조음 중에 성대의 진동이 없는 무성음에 상대되는 음성학적 용어로 국어의 유성음들은 무기음으로 실현된다. 현대국어에서는 유성음과 무성음 사이의 음운론적 대립이 없어 언중들은 그 차이를 인식하기가 어렵다. 모음은 정의적(情意的)인 표현으로 발음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일반적으로 모두 유성음으로 실현된다. 비음 ‘ㅁ, ㄴ, ㅇ’, 유음 ‘ㄹ’도 흔히 유성음으로 실현된다. 자음 중 ‘ㄱ, ㄷ, ㅂ, ㅈ, ㅎ’은 유성음 사이에서만 유성음으로 실현된다. 15세기에는 순경음 ‘ㅸ’, 반치음 ‘ㅿ’ 등과 같은 유성자음이 존재하였다.③ r-V, ④ n-V, ⑤ m-V, ⑥ V-β, ⑦ V- ɦ 등의 환경에서 실현되었다. 이 ‘ㅿ’은 ‘ㆁ, ㄴ, ㅁ, ㅇ, ㄹ’과 함께 『훈민정음』을 비롯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