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탁(淸濁)
이 가운데 ‘발성’은 성대를 진동하면서 내는 폐쇄음인 ‘b, d, g’ 등을 말하고, ‘송기’는 공기를 입 밖으로 내보내면서 만드는 폐쇄음이나 마찰음인 ‘p, t, k, f, s, h’ 등을 말한다. ‘수성’은 ‘유음’인 ‘l’, 비음인 ‘ m, n, ŋ’, 반모음’인 ‘j, w’ 등을 말한다. 성운학에서는 또한 성모, 즉 자음을 발음할 때 성대를 울리게 하는 ‘유성음’과, 성대를 울리지 않고 발음되어 나오는 ‘무성음’으로 나누었다. 그리하여 전자를 ‘탁음(濁音)’, 후자를 '청음(淸音)’이라 하였다. 그러므로 청탁(淸濁)은 중국 성운학에서 발음 방법에 입각하여 성모를 분류한 소리의 부류를 말하는데, 성대를 울리며 발음되는 ‘유성음’을 가리키는 ‘탁음(濁音)’과, 성대를 울리지 않고 발음되는 ‘무성음’을 가리키는 ‘청음(淸音)’, 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