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황(鄭榥)
그 밖에 「양주송추도(楊州松楸圖)」(개인 소장)·「동교행락도(東郊行樂圖)」(개인 소장)·「동래태종대도(東萊太宗臺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대구달성도(大邱達城圖)」(영남대학교박물관 소장) 등의 작품은 정선의 화법을 충실히 전수한 수준에서 머물고 있다. 그리고 「경화문답도(經畫問答圖)」가 포함된 화첩(畫帖)의 「문암도(門岩圖)」·「청풍계도(淸風溪圖)」(이상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등 서울과 금강산을 그린 6점의 진경산수화가 전하는데, 이는 정선의 그림을 임모(臨摸)한 것이다. - 『한국회화사(韓國繪畵史)』(안휘준, 일지사, 1980) - 『우리나라의 옛그림』(이동주, 박영사, 1975) - 『한국회화대관(韓國繪畵大觀)』(유복렬 편, 문교원, 1969) -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오세창, 계명구락부, 1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