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모변(字母辨)
그의 문집인 『이재유고(頤齋遺稿)』(1829)의 권26 잡저에 실려 있다. 분량은 판본에 따라 3∼5장이다. 이 글은 중국한자음인 화음(華音)과 한국한자음인 동음(東音)의 차이를 대조하고 동음의 체계를 밝히려는 목적으로 쓰였다. 먼저, 중국에서 자모(字母)를 설정하게 된 역사와 그 뒤의 자모수의 변천사항을 말하고, 이어서 자모 및 운모(韻母)를 다루고 있다. 우선, 훈민정음이 『홍무정운(洪武正韻)』의 31자모를 본받아서 자모수를 줄였는데, 영조시대에 우리나라에서는 14자모만 사용되고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초성 31자모는 중국어의 표기에 필요하지만, 우리의 경우는 속용(俗用) 14자모면 충분하다고 하였고, 그 속용의 초성 14자모를 ‘ㄱ, ㅋ, ㅇ, ㄷ, ㅌ, ㄴ, ㅂ, ㅍ, ㅁ, ㅈ, ㅊ, ㅅ, ㅎ, ㄹ’ 등과 같이 배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