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통보(朝鮮通寶)
그러나 인조조에 팔분서 조선통보를 주조, 유통했던 역사적 경험은 17세기 50년대를 포괄하는 효종조의 화폐 정책 운용에 있어서는 물론, 1670년대 말부터 상평통보(常平通寶)가 국가의 유일한 법화로서 계속 유통 보급되는데 큰 잠재력이 되었던 것이다. - 「여말선초의 화폐제도 1」(이능식, 『진단학보』 16, 1949) - 「조선초 화폐제의 변천」(이종영, 『인문과학』 7, 1962) - 「화폐」(원유한, 『서울육백년사』 2, 1977) - 「이조 숙종시대의 동전에 대하여」(원유한, 『사학연구』 18, 1964) - 「조선후기 금속화폐유통정책-17세기전반의 동전유통시도기를 중심으로-」(원유한, 『동방학지』 13, 1972) - 「朝鮮初期の銅錢について」(宮原鬼一, 『朝鮮學報』 2, 1951) - 「朝鮮初期の楮貨について」(宮原鬼一, 『東洋史學論叢』 3, 1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