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암만고(月巖漫稿)
이로 미루어보아 저자는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까지의 인물임을 대략 추정할 수 있다. 권1∼3에 시 572수, 권4에 서(序) 15편, 기(記) 15편, 제발(題跋) 13편, 권5에 명송(銘頌) 8편, 설(說) 4편, 인(引) 2편, 해(解) 1편, 상량문 1편, 잡저 9편, 서(書) 19편, 권6에 고문(告文) 7편, 제문 33편, 애사 5편, 권7에 유사 7편, 사(詞) 6편, 행장 22편, 묘지명 7편, 묘표 4편, 갈기(碣記) 1편, 비(碑)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시체별로 분류되지 않았으며, 대체로 저작연대순으로 배열되었다. 그 중 「가대인화갑지희시백운(家大人華甲識喜時百韻)」은 주목할 만한 대작이다. 「배육신묘(拜六臣墓)」·「충민사억고(忠愍祠憶古)」·「유조령(踰鳥嶺)」 등의 작품에서는 저자의 역사인식의 단면을 볼 수 있으며, 「충렬사이십영(忠烈祠二十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