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유어(正蒙類語)
각 유에 16개의 한자가 있으므로 모두 1,008자가 있는 셈이다. 이 책의 한자음과 한자석에 나타나는 국어학적 특징을 들면 다음과 같다. 어두된소리의 표기는 ㅅ계 합용병서만 사용하고 있다[ㅆ도 ㅅ계 합용병서로 본다. ᄭᅩᆺ화(花, 5b), ᄯᅡ 디(地, 1a), ○ 상(桑, 6a), 씨 핵(核, 5b), ○ 직(織, 23a)〕. 이 당시 받침표기에서는 거의 볼 수 없는 ㄷ과 ㅈ이 쓰이고 있다[믿을 신(信, 10b), 낮을 저(低, 12b), 맞을 빙(聘, 23b), 낮을 비(卑, 24b), 찾을 색(索, 28a)]. ‘·’는 보이지 않고 /ε/를 표기하는 데에 ‘ᄋᆡ’가 몇 개 보일 뿐이다[안 ᄂᆡ(內, 3a), ○릴 타(打, 29b), ○아슬 창(搶, 29b)]. 명사에 접미사 ‘이’가 통합된 형태가 보인다[터리 모(毛, 7a), 버리 봉(蜂, 7b)]. 치찰음(齒擦音) 뒤에서 전부고모음화(前部高母音化)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