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경세문답언해(御製警世問答諺解)
⑦ ‘에와’와 같은 조사(助詞)의 통합이 보인다[듕용에와 대ᄒᆞᆨ에(4b), 명늉에와 경신에(4b)]. ⑧ ㅎ종성체언은 ㅎ을 유지하고 있는 표기가 더 많다[나라흘(1a), 나흘(4a),ᄒᆞᆫ자히(7b),ᄯᅡ히(9a), 세히라(10b), 안흐로(14a), 하ᄂᆞᆯ이(13b)]. ⑨ 어중의 유기음은 재음소화(再音素化)된 표기가 많이 나타난다[갑하(2a), 깁히(6b), 놉흐며(7b), 닑히고(9a), 막히엿ᄂᆞᆫ디라(11a), ᄇᆞᆰ히면(10a)]. 그러나 어중의 ‘ㅊ’과 ‘ㅌ’은 어간말음에 ‘ㅅ’을 쓰고 뒤의 음절 초성에 ‘ㅊ’, ‘ㅌ’을 쓰는 표기가 우세하다[ᄀᆞᆺᄐᆞ니(1b), ᄂᆞᆺ치(1b), 것ᄎᆞ로(3a), 밋ᄎᆞ리오(3b), 외얏븟치ᄅᆞᆯ(6a), 긋치게(11b), ᄆᆞᆺᄎᆞᆷ내(13b)∼ᄆᆞᄎᆞᆷ내(14a), 긋티(18a), 이럿탓ᄒᆞ고(30a), 춤밧ᄐᆞ며(43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