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라(雲鑼)
10개의 징(鑼)의 배열은 맨 아래칸은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중려(仲呂, Ab)·임종(林鐘, Bb)·남려(南呂, C) 3개, 둘째 칸은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무역(無射, db)·황종(黃鐘, eb)·태주(太簇, f) 3개, 셋째 칸은 다시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고선(姑洗, g)·중려(ab)·임종(bb) 3개, 마지막 넷째 칸은 바로 중앙에 남려(C) 한개가 달려 있다. 징의 지름은 10개가 모두 같으나 그 후박(厚薄)으로 높낮이가 달라서, 얇으면 낮은 음이 나고 두꺼워질수록 높아가는 것은 편종·편경·방향의 경우와 같다. 운라는 『고려사』악지나 『악학궤범』에는 보이지 않고, 조선 순조 때의 『진연의궤』에 나온다. 음색이 맑고 밝아 흥겨운 곡이나 행악에 주로 쓰인다. - 『한국악기대관』(장사훈, 한국국악학회, 1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