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곡유고(艮谷遺稿)
1800년(정조 24) 문인들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윤광안(尹光顔)의 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2에 사(辭) 1편, 시 522수, 권3·4는 서(書) 110편, 권5·6은 서(序) 1편, 기 5편, 잡저 11편, 제문 12편, 뇌문·묘표·묘갈명 각 1편, 묘지명 6편, 행장 3편, 행적 6편, 유사 2편 등으로 되어 있다. 「차귀거래사(次歸去來辭)」는 도잠(陶潛)의 「귀거래사」를 본떠 세속을 잊고 은거하려는 뜻을 친구인 윤관기(尹觀基)에게 밝힌 것이다. 시는 품격이 담박하고 내용이 온아하다. 「존양설(存養說)」은 학문하는 방법을 설명한 것으로, 『중용』의 존심 양성을 근거로 쉬지 말고 계속해 나가는 것이 체도(體道)의 방법임을 강조하면서, 학문이란 마음으로 하지 않으면 이룩할 수 없다고 지적하고, 학문의 적극적인 목적은 천성 회복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