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다리농악(웃다리農樂)
판제는 인사굿(가락진행:1234), 돌림버꾸(2532), 당산벌림(26736256), 칠채오방감기(8396), 무동쾌자놀이(1011101210), 소고절굿대(2132), 십자걸이(23) 또는 가새치기(23), 사통백이(23), 좌우치기(146142), 쩍찌기(1516), 풍년굿(1756), 고사리꺾기(182), 도둑굿(326), 소고판굿놀이(25326), 무동꽃받기(2), 상쇠놀이(23), 따버꾸(632), 설장구(19), 긴채상(23), 뒷풀이(2053), 퇴장굿(421)으로 엮어진다. 1950년대까지의 판제에는 당산벌림과 칠채멍석말이 및 무동꽃받기가 있는 정도였다. 좌우치기는 해방 후에 이원보가 열중쉬엇, 차렷 하는 훈련에서 착안한 것이다. 십자걸이는 가새벌림이 가지런히 되질 않아 그 방편으로 송순갑 행중에서 나온 것이다. 도둑잽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