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굿음악(京畿道 굿音樂)
경기도 굿음악은 경기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굿에서 연행되는 음악이다. 경기무악이라고도 하며, 여성 무당 ‘미지’의 무가와 춤을 반주하는 남성 악사 ‘화랭이’의 무악으로 구분한다. 무가는 도살풀이, 모리, 발뻐드래 등의 장단에 얹어 부른다. 춤은 삼현육각으로 반주하는 춤과 쇠풍장으로 반주하는 춤으로 구분한다. 삼현육각으로 반주하는 무악은 「긴염불」, 「굿거리」 등이며, 쇠풍장으로 반주하는 무악은 반설음, 부정놀이, 올림채 등이다. 경기도 굿음악은 세습 무가를 통해 전승되었는데 미지의 마지막 세대인 오수복 씨가 사망한 이후 그 전승이 시급한 실정이다.쇠풍장으로 반주하는 무악은 반설음(15/8박자, 반설음이라고도 함), 부정놀이(8/4박자), 올림채(10/8박자), 덩덕궁이(12/8박자, 자진굿거리라고도 함), 진쇠 등이 있다. 경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