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암문집(汎庵文集)
권1·2에 시 418수, 권3∼5에 서(書) 88편, 잡저 13편, 서(序) 16편, 기(記) 18편, 발(跋) 9편, 자사(字辭) 2편, 명(銘) 9편, 찬(贊) 1편, 상량문 6편, 뇌사(誄辭) 8편, 권6∼9에 제문 28편, 고유문 6편, 광기(壙記) 8편, 묘표 3편, 묘지명 14편, 묘갈명 19편, 행장 15편, 유사 2편, 전(傳) 1편, 권10은 부록으로 만사 46수, 제문 8편, 행장·묘지명·묘갈명 각 1편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자연과 고적을 소재로 다룬 것이 많고, 망국에 대한 슬픔이 곳곳에 표현되어 있다. 「청학동(靑鶴洞)」·「주왕암(周王菴)」·「등영남루(登嶺南樓)」·「진안도중(眞安途中)」 등은 여행시이며, 「백발가(白髮歌)」는 우리나라 단가(短歌)의 형식을 한문화한 작품이다. 「초혼사(招魂詞)」에서는 나라 없이 사는 사람의 혼도 이미 죽은 사람과 다름이 없어서 혼을 부를...